고전 번역가

[충청매일] 옛날 어느 도둑이 자기 아들에게 도둑 기술을 가르쳤다. 아들은 재주가 있었는지 금방 기술을 터득했다. 아버지와 함께 도둑질을 하러 갈 때면 앞서 들어갔고, 나올 때는 뒤에 나왔으며, 훔친 것은 항상 귀한 물건들이었다. 아들은 스스로 생각하기를 자신이 아버지보다 낫다고 여겼다.

“제가 아버지보다 기술은 부족하지만 이제 도둑질에서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그러자 아버지 도둑이 말했다.

“너는 아직 멀었다. 고작 기술을 배웠을 뿐이다. 배운 기술을 응용하여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니 더 배워야 한다.”

이에 아들이 따지듯이 물었다.

“도둑질은 귀한 것을 많이 훔쳐오는 것이 으뜸 아닙니까? 제가 늘 아버지보다 더 많이 훔쳐오니 이 정도면 경지에 이른 것이 아닌가요?”

아버지 도둑이 이어 말했다.

“아무리 담을 잘 넘고, 아무리 많은 보물을 훔쳐온다고 해도 그걸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다. 백 번 잘하다가도 한번 실수하면 도둑인생이 끝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둑에게는 물건을 훔치는 도중에 탄로가 나서 위급할 때 무사히 도망쳐 나오는 기술을 최고로 치고 그때 비로소 경지에 이르렀다고 하는 것이다.”

아들은 아버지 도둑의 그 말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했다. 어느 날 밤 부잣집 담을 넘었다. 아들은 한 눈에 보물 창고를 찾아내서 창고 문을 따고 들어갔다. 그러자 아버지 도둑이 아들이 들어간 그 창고 문을 재빨리 잠갔다. 그리고 문을 밀고 당겨서 덜커덩 소리를 크게 내었다. 그 소리에 부잣집 주인이 잠이 깨어 달려 나왔다. 이를 본 아버지 도둑이 담을 훌쩍 넘어 도망쳤다. 부잣집 주인은 먼저 창고를 살폈다. 자물쇠가 채워져 있는 것을 보고 안심하고 다시 방으로 들어갔다. 그때 창고 안에 갇힌 아들 도둑이 창고 문을 빡빡 긁으면서 쥐 소리를 냈다. 그러자 방에 들어간 주인이 그 소리에 방문을 열고 다시 나왔다.

“이놈의 쥐가 창고를 다 휘젓고 다니는구나. 망할 놈의 쥐 같으니라고!”

하면서 호롱불을 들고 와서 창고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갔다. 그 순간 아들이 재빠르게 문을 밀치고 튀어나왔다. 그러자 주인이 도둑이 들었다고 크게 소리쳤다. 하지만 아들 도둑은 여유롭게 담을 넘어 도망쳤다. 집으로 돌아온 아들 도둑이 아버지를 원망하며 말했다.

“어찌하여 아버지는 제가 붙잡히도록 문을 잠군 것입니까?”

이에 아버지 도둑이 태연하게 대답했다.

“이제야 너는 도둑의 경지에 이른 것이다. 위급한 순간에 빠져나오는 것을 스스로 터득했으니 앞으로는 어떤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능히 해결할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 강희맹의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있는 이야기이다. 임기응변(臨機應變)이란 위기에 처했을 때 신속하게 벗어나는 술수를 말한다. 강한 자는 어려움에 처할수록 더욱 강해지고, 약한 자는 어려움에 처할수록 더욱 약해진다. 그러니 세상을 살아가려면 술수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