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충청매일] 독안산성은 성재산성, 복두산성, 독안산성이 있는 산줄기 중에서 가장 동쪽에 있다. 독안산성은 부강면 문곡리 대국터마을에 있어서 연개소문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일부 지도에는 유모산이라 적혀 있고, 또 다른 지도에는 영모정산으로 표기되어 있다. 복두산성에서 산을 내려와서 차를 타고 한 30m쯤 부강 쪽으로 내려오다가 왼쪽 공터에 주차를 하고 능선으로 올라갔다.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독립가옥을 지나 아무도 다니지 않는 능선을 숨 가쁘게 올라갔다. 집 주변에 두릅, 참취 등이 널려 있다. 나물에 신경을 쓰다보면 성을 보지 못한다.

산에는 아무도 없는데 녹음이 짙고 볕은 따갑다. 산새가 싱그러운 소리로 노래를 부르지만 혼자서 산길을 걷는 마음은 마냥 호젓하지만은 않았다. 능선 길은 멧돼지들이 떼를 지어 지나갔는지 따비를 일구어 놓은 것처럼 마구 파헤쳐졌다. 도토리를 주워 먹든지 둥굴레 같은 맛있는 풀뿌리들을 캐 먹느라 그리 했겠지만 혼자인 사람은 등골이 써늘해진다. 낯선 길이라 2km 밖에 안 되는 1시간 거리가 그토록 길게 느껴질 수 없다.

능선을 넘고 넘어 걷고 또 걸어 유모산이라고 누군가 표찰을 붙여놓은 곳에 도착했다. 정상은 평평한데 평평한 부분을 빙 둘러 돌을 쌓은 성을 발견했다. 언뜻 보기에 성이 아니라 경계 표시처럼 보였다. 그러나 성 내부가 평평하고 지대가 높아 보루로 쓰기에 충분하다. 둘레는 약 500m~600m 쯤 되어 보였으나 성벽은 높지 않았다. 한 바퀴 돌아보았다.

석축은 자연석을 그대로 쌓은 곳도 있고 다듬은 흔적이 보이는 것도 있다. 내부에 우물터 같은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아무리 봐도 최근에 어떤 필요로 다시 쌓은 것 같지는 않다. 옛 돌이 그대로 있다. 그런데 성이라 하기에는 너무 낮다. 토석 혼축 산성이라면 아랫부분을 돌로 쌓고 위에 흙을 쌓거나 외부는 돌로 쌓고 안은 흙으로 쌓는 외축내탁형식인 경우가 많다.

독안산성은 아랫부분을 흙으로 쌓고 상부를 석축한 것으로 보였다.

성을 한 바퀴 더 돌아보았다. 가만히 보니 공터를 둘러싸고 있는 성벽은 석축을 했다. 그런데 성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두 능선은 토성과 석성이 이어진다. 서쪽으로 이어지는 가파른 능선에는 토축을 하였고 반대쪽은 돌로 쌓았다. 그러니 분명 토석혼축산성인데 정상 부분은 테메식, 능선 부분은 포곡식으로 쌓은 종합적인 형태이다.

그러면 내가 찾은 이곳이 분명 독안산성이다. 더 분명하게 확인하려고 지도를 보면서 유모산에서 조금 동쪽으로 가면서 찾았으나 없었다. 내가 길을 잘못 안 것은 아닐까 하고 아무도 없는 산 능선을 가보아도 성은 없다. 한 시간 이상 주변의 작은 능선들을 다 돌아다녔다. 배도 고프거니와 멧돼지들이 파헤친 낙엽 때문에 모골이 송연하다. 지도를 다시 보고 분명 독안산성이 맞을 것이라고 확신하면서 내려왔다.

독안산성은 복두산성에서 이어지는 산줄기에 있는 산성 가운데 가장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건너 노고산성과 마주 보고 있다. 서해에서 들어온 물자나 군사가 금강의 합강 부근에서 내려 이곳을 지나 회인을 거쳐 보은으로 갈 때 반드시 지나야 하는 통로를 지키는 보루 역할을 하는 요새였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