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와 충북과학대 간에 법정싸움 조짐이 보이고 있다. 양측의 통합논의에 대한 언론보도가 발단이 됐다. 언론보도 후 충북과학대는 사전에 전혀 논의한 적이 없는 데다 충청대의 통합추진이 입시철을 맞아 신입생 등록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하자 충청대는 논의해놓고 이제 와서 딴 소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충청대는 충북과학대의 이같은 입장발표로 명예가 훼손됐다며 고소를 검토하고 있다. 충청대는 충북과학대 이진영 학장과 세 차례에 걸쳐 통합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는데 충북과학대의 “논의가 없었다”는 주장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대학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상생을 위한 충청대와 충북과학대간 통합논의는 바람직하다. 특히 사립인 충청대와 도립인 충북과학대의 통합은 큰 관심거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번 충청대와 충북과학대간 논쟁은 지성의 상아탑으로 불리는 대학에서 소모전으로 보인다. 양 대학이 주장하는 ‘논의’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쉽게 문제가 풀리게 될 수도 또, 더 꼬이게 될 수 있다. “이진영 학장이 통합에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는 충북과학대의 설명을 보면 통합과 관련한 무슨 말이 오간 것이 분명하다.

충청대는 이 자체를 논의로 규정하고 있고 충북과학대는 의향을 전달한 수준으로 여기는 듯 하다. 진실게임의 쟁점이 너무 단순해 법정공방으로까지 비화될 만큼 비중이 있다고 보여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양 대학의 논쟁은 각자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모양새도 좋지 않다.

지금 양 대학은 지방대 위기론 확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묘책 마련에 골몰할 때다. 자존심이 걸린 일이지만 법으로 ‘논의’를 정확하게 규정해 한쪽의 손을 들어줄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사전적으로 따지기도 모호한 것이 단어가 내포한 전반적인 의미다.

시간과 돈을 들여가며 잘잘못을 따지기보다는 그 노력을 경쟁력 확보에 쏟는 것이 양 대학이 살아남는 길일 것이다. 설령 법정에서 누가 승소한 들 대학 이미지 제고에 크게 도움이 될 성 싶지 않다.

양 대학은 상호 합의를 통해 상생의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는 점을 인식하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