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그러나 구조를 바꾸거나 규약이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을 지키려는 사람들의 마음이 더 먼저였다. 남남들이 모여 어떤 일을 도모한다는 것은 말처럼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여러 사람들이 모여 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당근이 필요하고, 당근을 먹으려면 무엇인가 지켜야한다는 것은 그 다음이었다.

“우리 북진여각에서는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객주들과 임방주들께 필요한 물건을 전량 대줄 것입니다. 그 대신 여러분들도 장사를 해 거둬들인 각 마을의 물산들을 지금처럼 우리 여각으로 전량 넘겨야 합니다!”

최풍원이 서로 간 거래 관계를 먼저 이야기했다.

“그렇다면 본방 때나 여각으로 바꾼 다음이나 뭐가 다르단 말인가?”

장순갑이 제일 먼저 이의를 제기했다.

“장사할 물건이야 우리가 직접 청풍도가로 가거나 경상들이 나루에 들어오면 직접 떼면 될 일을 굳이 여각까지 와서 떼 갈 일은 뭐요? 또 내 물건 내가 내 맘대로 팔면 돼지 굳이 장사한 물건을 북진여각까지 와 넘겨야 할 이유가 뭐요?”

송만중도 최풍원의 말을 이해할 수 없다는 듯 의문을 제기했다.

“장 객주나 송 임방주가 염려하는 것처럼 그건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도가나 경상들로부터 받는 물건 값보다 훨씬 싼 값에 물건을 받아 공급을 해줄 것입니다. 그러면 지금보다 여러분들의 이득이 훨씬 더 늘어날 것입니다!”

“특별한 경우에나 잠시 머무는 한적한 북진나루에 뭐 빨아먹을 게 있다고 한양 배들이 들어오기나 한답디까?”

송만중은 계속해서 부정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객주와 임방주님들 도움이 필요하고, 우리가 한데 뭉쳐야 하는 이유입니다!”

최풍원이 다시 한 번 뭉쳐야 하는 연유를 강조했다.

“장사꾼이 발바닥에 땀나게 부지런히 돌아다니면 되지, 우리가 전쟁을 하러 나가는 것도 아니고 군역을 하러 가는 것도 아닌데 뭉쳐서 뭘 한단 말인가?”

장순갑 역시 송만중과 같은 뜻을 고집했다.

“지금 우리 북진여각이 여러 가지로 부족함을 압니다. 그러나 여러분들께서 힘을 모아주시면 그 부족함은 단번에 딛고 일어설 수 있습니다. 장사꾼들이라는 사람들은 물건이 모인 곳에 꼬여들기 마련이고 돈이 되는 곳이라면 가시넝쿨로 길을 막아놓아도 뚫고 들어오는 것이 습성입니다.”

“그런데 지금 북진의 형편은 나루터도 입구에 모래톱이 쌓여 대선은 들어오지도 못하고 그뿐이오? 오일장은커녕 이따금 소금배가 들어와도 펼쳐놓고 장사할 변변한 장마당도 하나 없지 않소?”

그것은 송만중의 말이 맞았다.   

최풍원이 북진으로 장사 터전을 옮긴 이후 몇 번의 난장도 틀었었다. 그렇지만 그게 오랫동안 열리지 못하고 곧 철시를 해야만 했다. 그렇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장사꾼과 장꾼 사이에 매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장사꾼은 장사꾼대로 장꾼은 장꾼대로 서로를 충족시켜줄 그 무엇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장사꾼 중에 제일로 큰 장사꾼인 한양의 경강상인들이 나루에 들어와 닻을 내려고 물건을 풀어놔도 사가는 사람들이 서너 날이면 동이 나니 더 머물 수가 없었다. 그러니 경상들은 배를 몰고 다른 마을로 가버렸다. 그나마 경상들 물건을 떼어다가 행상을 하는 보부상들도 그들을 따라 발길을 돌리니 북진에 장이 선다 해도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까닭이었다. 그러다보니 본방에 집산된 물산도 처분하려면 충주 윤 객주 상전까지 옮겨야 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그동안 최풍원의 본방이 자리를 틀고 앉아 장사를 한 덕분에 예전보다는 나아졌다하나 송만중의 말처럼 아직도 변변한 장마당 하나 마련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렇소이다. 지금 우리의 조건은 다른 장에 비하면 불리한 것이 많고 여러 가지 부족한 것들이 많소이다. 그러나 우리 북진여각에서는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할 작정이오.”

“뚜가리도 없는데 손바닥에 장을 끓일 것이오?”

“이보시오! 송 임방 그렇게 사사건건 타박만 할 것이 아니라 대행수 이야기부터 들어봅시다!”

사사건건 트집을 잡고 나오자 송만중을 추천했던 김상만이 제지했다.

“좋소이다. 대행수 얘기를 들어봅시다.”

그제야 송만중이 수구리해졌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