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경기침체와 각종 물가 인상, 수입 감소 등의 여파로 서민들의 삶이 힘겹다. 재래시장에서 좌판을 깔고 농산물을 파는 영세상인들이나 소규모 점포를 운영하는 상인들 모두 매출이 크게 줄어들면서 집세조차 내기 버거운 것이 현실이다. 일반 서민들의 고통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대학에 다니는 자녀 학자금이나 양육비를 충당하느라 시름이 깊다.

이런 서민들이 자금난에 허덕이면서 가장 먼저 찾는 곳은 서민금융기관이다. 일단 대출을 받아 목돈을 마련한 뒤 나눠서 갚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적지 않은 이자를 물어가며 은행을 찾고 있다. 그러나 정작 서민금융기관을 자임하는 은행들은 이같은 서민들을 반기지 않는다. 중소제조업체들은 뛰어난 기술력이 있어도 이를 상품화하거나 생산활동에 반영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들 모두 상환능력이 미흡한 데다 담보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문전박대를 당하기 일쑤다. 은행은 사회적 공공부조를 근간으로 하는 영리업체다. 예금주들이 맡긴 돈을 자금이 필요한 사람이나 기업에 이자를 받고 빌려주는 중개역할을 담당한다. 많은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안전성과 재테크 측면도 있지만 사회적 공공부조에 참여한다는 취지도 포함된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실상은 이자놀이에 급급한 사채업자와 다름 없다. 예금 금리는 사실상 마이너스시대임에도 대출 금리는 좀처럼 내려앉지 않는다. 그만큼 은행들의 수입은 늘어나는 셈이다. 겉으로는 지역경제 기여와 서민 자금난 해소, 융자 지원을 통한 기업 경영 활성화 등을 외치면서 속으로는 계산기만 두드리고 있는 게 금융기관의 실체다.

서민들이 일시적 자금난을 해소함으로써 가계가 신장되고, 기업들이 기술력을 담보로 자금을 마련, 생산활동이 증가될 때 지역경제는 부활할 수 있다. 이같은 지역경제 부활의 원동력은 서민금융기관의 몫이다. 지금부터라도 고리대금업자라는 오명을 벗고, 서민과 영세 중소업체에게 기댈 어깨를 내어주는 사회적 공공부조의 책무를 다하길 촉구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