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남 도서관정보정책위 위원장 “교류 협력 플랫폼 기능 강화할 것”

공공도서관이 1천42개관(2017년)에서 1천468개관(2023년)으로 420여개 늘어난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신기남(사진) 위원장은 23일 “정부의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연계해 공공도서관을 확충하겠다”며 이렇게 밝혔다.

2022년까지 공공도서관을 총 1천500개관 만드는 것이 국정과제였다. 위원회는 여건 등을 고려해 숫자를 현실적으로 조정했다. 올해 54개관을 신설하고 내년부터는 80개관 이상 설립하는 것이 목표다.

신 위원장은 “지역 주민의 수요 충족을 위한 서비스를 보급하고, 도서관과 지자체 간 공동협력 사업 등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 기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면서 “도서관의 지역(공공도서관)·교육(학교도서관)·지식(대학도서관) 공동체 속에서의 교류 협력 플랫폼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작은 도서관은 2017년 6천58개관에서 2023년 6천820개관으로 늘린다. 국민 1인 장서수 역시 2017년 2.03권에서 2023년 2.5권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신 위원장은 “노후 공공도서관의 새단장(리모델링)도 지원한다”면서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해 자유롭게 학술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오픈액세스’를 확대하는 등 정보 자원의 공유 기반을 구축하고 국제적 수준의 도서관 접근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스마트 도서관 시범사업, 모바일 디지털 서비스 강화, 도서관 인공지능(L-AI) 서비스 개발, 사물인터넷 기반 도서관 환경 구축 등 미래지향형 도서관 기반시설(인프라) 구축도 강조했다.

이날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한 신 위원장은 “제2차 계획이 서비스 질의 향상에 목표를 뒀다면, 3차는 가치에 중점을 뒀다. 개인의 삶, 공동체 삶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삶이 있는 도서관, 우리 삶에 더욱 밀착돼 삶의 변화를 촉진하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가치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공동체의 역량을 키우는 도서관,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미래를 여는 도서관 혁신 4대 전략방향을 설정했다.

신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하며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