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GRDP 3.56%…상승세 둔화

2020년 4% 달성 낙관하기 어려울 듯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바꿔야

충북이 전국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초시(사진) 충북연구원 원장은 26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의 2017년 기준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 잠정치)는 55조3천억원으로 전국 GDP의 3.56% 수준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최근 기저효과로 인해 성장세가 주춤하긴 했지만, 전국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국가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5년간 충북의 경제성장률은 2013년 7.4%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014년 4.8%, 2015년 4.5%, 2016년 6.4%, 2017년 3.4%를 기록했다.

지난해 3.4%의 경제성장률은 경기(5.9%), 제주(4.9%), 인천(4.0%)에 이어 4위다.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로 전국 3위다.

전국에서 충북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GRDP 비율도 2012년 3.19%에서 △2013년 3.34% △2014년 3.38% △2015년 3.44% △2016년 3.55% △2017년 3.56%로 꾸준히 증가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도 2013년 3천16만원에서 지난해 3천803만원으로 전국 6위를 기록했다.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0%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같은 기간 1인당 지역총소득도 2천603만원에서 3천93만원으로 연평균 4.4% 증가했다.

그러나 충북도가 세운 ‘2020년 전국대비 4% 경제 달성’을 낙관만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016년부터 충북의 GRDP 상승세가 다소 꺾였다. 또 수도권이 우리나라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3년 안에 GRDP 비중 0.46%를 늘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제조업 위기’도 해결해야할 과제다.

충북의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를 보면 제조업이 63.6%로 압도적으로 높다. SK하이닉스·LG화학·현대모비스 등 대기업 영향을 받는 전기전자·정밀기기, 화학제품, 기계 운송장비 부문이 사실상 충북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서비스업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등 경제성장 기여도가 낮다. 서비스업 부진은 소득의 역외유출로도 이어지는 문제다. 결국 충북경제는 제조업 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다.

정 원장도 “충북은 농림어업, 서비스업 등 부가가치가 감소함에 따라 산업구조에서 차지하는 제조업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며 “이는 경기변동에 대한 위험분산 능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충북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했다.

먼저 전통제조업에 대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용, 제조업·서비스업 연계관계 극대화 등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술혁신형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혁신기반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성장동력 다각화, 투자유치 방향 전략적 우선순위 설정 등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민선 6기 경제정책 방향이 ‘양적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면, 민선 7기는 ‘질적 성장’을 노력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정 원장은 “충북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이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