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의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매출감소로 고사 직전에 처한 음식점을 돕기 위해 벌이는 ‘지역음식점이용하기’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경기불황으로 줄줄이 문 닫고 있는 음식점을 돕기 위한 고육지책의 일환이다.

이 지자체의 공무원들이 매주 한 두 차례씩 구내식당의 문을 닫고 지역음식점을 이용하고 있는데, 관내 음식점에서 점심 또는 저녁 한 끼의 식사를 사먹는 것은 지금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데는 일부분의 도움은 될지언정 경영난을 덜어주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음식점의 입장에선 실질적인 도움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최근 국내경기는 엄동설한처럼 꽁꽁 얼어붙어 IMF보다 더 어렵다고 한다. 돈이 없어 외식을 못하는 사람들은 물론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사람들조차 지갑을 열지 않은 채 소비행위를 삼가고 있어 음식업소의 매출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음식업주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가히 살인적이라는 말조차 들린다.

음식업주들에 따르면 음식업소 10곳 중 7~8개 업소는 장사가 안돼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하루 고객이 10명 이내의 음식점이 즐비하고, 심지어 손님을 두 서너 팀밖에 받지 못해 종업원을 내보내고 혼자 일하는 식당이 부지기수라고 하니 ‘음식점 불황‘의 그늘이 얼마나 깊고 넓게 퍼져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음식점의 매출부진은 곧 전기료 등 각종 공과금이 체납되고, 집세를 내지 못하고, 아이들을 학원조차 보내지 못하는 등 사회 문제로 이어지는 데다 ‘풀뿌리 서민경제’도 무너진다는 점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충청권 지자체가 구내식당의 문을 닫고 지역 음식점을 이용하기로 했다는 소식은 좀처럼 들리지 않는다. 공무원과 기업체 임직원들이 일주일에 한 두 차례씩 지역음식점을 이용한다면 음식점의 경영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경기침체로 솥단지까지 내던지며 생존권을 부르짖던 고사 직전의 음식점을 돕는 것은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역의 기관단체·기업체 등으로 확산돼야 한다.

충청권의 지자체가 매출감소로 어려움에 빠진 음식점이용하기운동을 하루라도 빨리 시작한다면, 지역의 많은 기관사회단체와 기업체 등으로 이어져 이 운동의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국민은 나라가 어려울 때 국가를 위해 가장먼저 나서고 이웃이 어려울 때 돕지 않고는 못 배기는 민족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