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 통계 발표…맞벌이 등 출산에 영향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를 낳지 않은 부부의 비중이 전체의 40%에 가까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를 낳지 않은 비중은 높았고 평균 출생아 수는 1명에 미치지 못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7년 신혼부부 통계'를 보면 초혼 신혼부부 110만3천쌍 중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는 41만4천쌍으로 전체의 37.5%를 차지했다.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비율은 1년 전(36.3%)에 비해 1.2%포인트 늘어났다. 1~2년차 부부를 제외하고 3~5년차 부부만 따질 경우 미출산 비중은 21.8%로 낮아진다. 혼인 연차가 낮을수록 자녀가 없는 부부가 더 많다는 얘기다.

초혼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8명이다. 신혼부부당 1명의 아이도 낳지 않는다는 얘기이며, 1년 전(0.80명)보다도 줄어들었다.

부부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출산 비중은 작았다. ‘무(無)자녀' 비율은 신혼부부의 소득 구간이 1억원 이상일 때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7천만~1억원 미만에서 42.9%, 5천만~7천만원 미만에서 40.1%, 3천만~5천만원 미만에서 34.4%, 1천만~3천만원 미만에서 33.6%, 1천만원 미만에서 33.1%로 각각 집계됐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아야 아이를 낳을 여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 중 자녀를 둔 비율은 56.3%로 그 반대의 경우(68.9%)보다 낮았다. 맞벌이 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율을 봐도 전체의 56.7%로 외벌이 부부(68.0%)보다 낮았다. 평균 출생아 수도 맞벌이 부부가 0.70명, 외벌이 부부가 0.86명으로 집계됐다.

평균 출생아 수 역시 아내가 경제활동을 할 경우 0.69명, 하지 않을 경우 0.88명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외벌이 부부보다 낮았으며 역시 소득 구간이 높아질수록 감소했다.

유(有)자녀 비중은 30대에서 66.6%로 가장 높았고, 20대(54.4%), 40대(48.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평균 출생아 수도 30대에서 0.84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20대(0.67명), 40대(0.59명), 50세 이상(0.38명), 19세 이하(0.37명) 순이었다.

혼인 후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를 낳는 경향이 나타났다. 임신과 출산 기간을 고려하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자녀를 출산한 부부의 비중은 혼인 1년차 중 32.2%에 불과했던 반면 2년차 부부에서 59.4%, 3년차 부부에선 71.5%로 늘어났다. 평균 출생아 수를 봐도 1년차엔 0.23명이었던 것이 2년차엔 0.57명, 3년차엔 0.80명으로 늘어났다.

신혼부부 통계는 저출산 관련 주요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6년부터 작성되고 있다. 매년 11월 1일 기준 혼인 신고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부부 중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이며 부부 중 1명 이상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