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보영 수필가

만산홍엽에 눈이 시리다. 초록에 지처 단풍이 든다 했던가. 혼신의 힘을 다해 봄여름을 살아내고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조락해가는 저들 모습이 겸허하다. 소쇄한 바람이 분다. 청량한 바람이 눅눅했던 몸과 마음을 가슬가슬 말려 준다. 순해진 가슴 한 자락에 가을이 안겨주는 쓸쓸함이 자리 잡기 시작한다.

쓸쓸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마음이 선해진다는 것은 아닐까. 쓸쓸함이 자리하면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소원했던 이들에게 손 내밀어야겠다 싶고 문득 먼데 있는 이들이 보고 싶어지고 한다. 그 뿐인가. 목에 걸린 가시처럼 아프게 하는 이들까지도 사랑해야겠다 싶어지기도 하는 걸 보면 쓸쓸함은 선하다는 것이고 그의 속성에는 아름다움이 녹아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우리 안에는 쓸쓸해지고 싶어 하는 정서가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올 한 해와도 결별을 고해야 하는 날들이 머지않았다. 연초에 한 해를 시작하면서 나와 우리 가족들을 비롯해 주변의 모두가 별일 없이 무탈했으면 하는 소박한 바람이 있었다. 다만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의 삶이되길 바라면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지속함으로 어느 누구와도 불편한 관계를 만들지 말아야지 다짐했었다.

올 해도 많은 이들과의 조우가 있었다. 오랫동안 관계를 이어온 이들, 이런저런 삶의 길목에서 우연히 스쳐간 인연들. 모두가 소중한 만남이었다. 그들과의 만남이 없었다면 삶이 얼마나 무미건조했을까싶다. 나름의 삶을 살아가느라 분주하면서도 무탈해서 고마운 가족들, 먼데 있는 것 같으면서도 돌아보면 늘 그 자리에 있어 다행인 지인들. 지난여름의 끝자락 길손들의 쉼터에서 우연히 만나 차 한 잔을 나누었을 뿐인데 오랜 지기가 된 것처럼 속내를 털어 놓던 쉼터의 주인장, 단팥빵 두 개밖에 사지 않았는데도 한 개를 덤으로 얹어준 ‘10월의 단팥빵’ 가게주인인 청년 사업가. 퇴근길 분비는 전철 안에서 하루의 릴과를 수행하느라 지쳤을 텐데도 불구하고 단지 내 머리가 희다는 이유로 서슴없이 자리를 내어주어 나를 민망하게 하던 젊은이. 그들이 있어 저무는 내 삶의 들녘은 적막하지 않았다..

결실의 계절이기도 사색의 계절이기도 별리(別離)의 계절이기도 한 이 가을 내 삶의 주변에서 나와 조우했던 이들 모두 평안했으면 좋겠다. 언제일지 모르지만 우연히 그때 그 쉼터에 들리게 되면 주인장으로부터 지인에게 받은 상처가 아물어가고 있다는, 10월의 단팥빵 가게가 번창했다는, 자리를 내어준 젊은이나 청년실업에 시달리는 젊은이들이 실업문제가 해결 되었다는, 경제가 어려워 전전긍긍하는 이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어나는, 그들과 나 우리 모두에게 좋은 일들이 일어났으면 좋겠다.

농익은 낙엽들이 내려앉는다. 저들을 보며 생각한다. 작은 나뭇잎 하나도 겨우내 메말랐던 수피를 뚫고 돋아나 성장해 낙엽이 되기까지 견뎌낸 수많은 날들이 평탄하지 많은 안았을 터. 따사로운 햇살의 속삭임이 있었는가하면 몸을 가누기 힘든 비바람도 있었을 것이고, 여린 잎을 갉아 먹는 해충의 침입을 견뎌내지 않으면 안 되었던 모진 날들도 있었을 것이다. 이 가을에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겸허히 내려앉아 생을 마감하는 저들의 모습은 질곡의 날들을 견뎌내며 소임을 다한 뒤 주어진 아름다운 훈장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떨어져 내리는 한 잎의 낙엽에서 인생의 무게를 느꼈다는 어느 시인의 말이 절실하게 다가온다.

축복으로 내 곁에 와준 아름답고 선한 날들을 마주하며 이런저런 상념에 젖다보니 문득 지난 늦은 가을 겨울의 초입에 들어섰을 무렵 지인으로부터 받은 곶감이 생각난다. 적당히 말라 겉은 쫄깃쫄깃하고 속살의 달콤함이 입안을 춤추게 하는 반 건시 한 상자. 좀 더 말려 잘 숙성 된데다 시설이 곱게 내려앉은 것까지 두 상자를 보내왔다. 그 해 가을 언젠가 만났을 때 잎이 진 감나무에 주렁주렁 달린 붉게 익어 눈길을 사로잡던 감을 보며 나누던 곶감이야기가 생각나서라며 보내 준 것이다. 지난 겨우내 구진할 때면 지인의 마음이 담긴 곶감으로 주전부리를 하며 몸도 마음도 푸근했었다.

나무에 달린 감이 저절로 곶감이 되지는 않는다. 곶감이기 이전에 떫기 만한 땡감이었던 것이 누군가의 손에 들려져 껍질을 벗고 햇살과 바람에 온 몸을 맡긴 채 떫은맛이 단맛이 되기 위해 숱한 날들을 견뎌낸 뒤라야 곶감이 된다. 여기에 시설이 뽀얗게 내려앉은 모습이 되려면 제 몸 안의 당분을 밖으로 밀어내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추의 길목에서 우리네 삶을 생각한다. 산다는 게 어디 거저 되는 일이던가. 달고 쓰고 맵고 짠 과정을 통한 담금질이 끝없이 요구된다. 그래서인가 사는 것을 두고 살아내는 것이라 하기도 하고 견뎌내는 것이라 하는지도 모른다.

선함과 그리움이 녹아 있는 쓸쓸해서 아름다운 이 가을에 내 안의 아집과 날선 자아를 녹여내어 감칠맛 나는 곶감 같은 성정이 되기 위해, 목에 걸린 가시처럼 통증을 유발하는 상처들을 치유하기 위해 부단히 애쓰고 힘써야지 하리라. 떨어져 내리는 낙엽을 보며 내 안의 또 다른 나와 만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