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남·광주지역에서 조류 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된 데 이어 소 브루셀라병까지 발생해 축산농가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충북 지역에서는 조류독감으로 인한 피해를 혹독하게 경험한 바가 있어 더욱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행정당국은 농가를 상대로 예방대책과 발병이 의심될 때 초기 조치와 함께 신고 요령을 알리기에 분주하다. 지금 발병지역은 물론 전국의 사육농가들이 자칫 1년 전의 조류독감 파동으로 재현되지는 않을까 가슴이 바싹바싹 타 들어가고 있다. 당시의 악몽을 두 번 다시는 생각하기도 싫기 때문이다.

가축 전염병이 발병하면 농가 뿐 아니라 가공·유통업체, 음식점 등 일파만파로 커져 그 충격은 한마디로 엄청나다. 조류독감 파동 당시 우리의 농가는 어땠는가. 자식을 키우는 정성으로 사육한 닭·오리를 생매장하는 것은 물론 외부와의 접촉까지도 일체 금지돼 망연자실한 채 하루하루를 연명했다. 애지중지 일궈 온 삶의 터전을 하루아침에 잃은 농가들이 재기의 꿈을 꾸는데도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던가. 가공·유통업체들은 한 순간에 일손을 놓을 수 밖에 없었고 음식점들도 약속이나 한 듯 셔터를 내렸다. 상상을 초월한 최악의 상황은 수개월동안 계속됐다. 이후 익혀 먹으면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며 각 기관마다 때아니게 삼계탕 시식을 했고 농협 등 관련 기관에서는 튀김닭을 무료로 나눠주는 등 야단법석을 떨었지만 국민들의 불신과 기피증을 해소하는데는 참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일부 학부모들은 행여 급식 메뉴로 닭·오리고기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학교 급식을 일일이 감시하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의 식생활에 밀접한 가축 전염병이 발병하면 실제 피해보다 ‘후폭풍’이 더욱 무섭다고 할 수 있다. 일단 발병하면 예방대책을 세우고 안전성을 아무리 홍보해도 그 것은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에 불과할 뿐이다. 최근의 조류독감과 소 브루셀라 발병의 후속대책에 당국이 바짝 신경 쓰고 있지만 사전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예방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재 충북도내 각 자치단체들이 전염병에 대한 발생 과정과 사후 대책, 신고요령을 알리고 있지만 우리 지역에서 발병을 막기 위한 당국과 해당 농가들의 예방 노력이 절대 필요한 시점이다. 그래야만 소비자들도 예전의 조류독감 파동 때처럼 동요하지 않고 믿음을 갖고 식탁의 메뉴를 바꾸지 않을 것이다.

조류독감 등의 폭풍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보다도 예방이 최우선일 수 밖에 없다. 충북 지역이 가축전염병의 예외 지역이 아니라는 점은 이에 증명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