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 2일은 노인의 날이다. 갈수록 사회복지제도가 좋아지고 있는 추세지만,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만큼 노인문제는 우리 사회가 풀어야할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 10명 중 8명이 노후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가족이나 건강보다 돈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보건복지부의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성인 2천명 중 1위인 39.3%가 노후에 중요한 사항으로는 ‘경제적 안정 및 여유’라고 대답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1순위였던 건강은 2위로 밀려났다. 몸이 계속 건강하다면 언제까지 일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72.9세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일할 수 있는 예상연령이 4.4세 높아졌다. 은퇴 후 다른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에 대해 절반가량이 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저출산 못지않게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고 이로 인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인식하면서 대부분의 국민이 은퇴 후 재취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셈이다. 재취업 이유로는 생활비 조달이 가장 큰 이유다.

이 같은 조사는 정부가 고령화 사회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권위원회의 노인인권실태조사 결과를 담은 ‘노인인권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장년층 10명 중 7명은 남은 생애 동안 경제적으로 어려운 삶을 살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의 노인층보다 훨씬 더 비관적이다. 조사에 참여한 청장년층은 ‘나는 노후에 경제적 어려움 없이 살 수 있다’는 말에 34.6%만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노인의 51.5%가 청장년과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청장년과의 갈등이 심하다고 느낀 비율도 44.3%에 달했다. 청장년은 더 심했다. 87.6%가 노인과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80.4%는 노인과 청장년 간 갈등이 심하다고 여겼다. 이는 세대 갈등이 심화하는 경우 노인 혐오 현상이 현저해질 우려가 있음을 방증해주는 일이다. 세대 간 소통과 교류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14.2%인 711만5천명에 달해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의 일이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35개국 중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80세 이상 초고령 인구의 비중은 2015년 2.6%에서 2050년 14.0%로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게 OECD의 전망이다. 급속한 고령화 속에 의학기술의 발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기대여명이 늘면서 이른바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라는 용어가 등장할 만큼 장수시대가 열린 데 따른 현상이다. 실제 국민연금을 받는 100세 이상 노인이 지난 6월말 현재 6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노인이 완전한 권리 주체로 인식되고, 존엄한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더 노력해야한다. 고령화 문제는 노인 빈곤과 노인 자살문제를 비롯해 다양한 노인 인권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노인 학대·자살·빈곤뿐만 아니라 최근 새롭게 제기되는 노인 간 돌봄, 황혼 육아, 세대 갈등 등에 대해서도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노인 세대의 경험과 지혜가 인권사회로 나아가는 사회적 동력으로 승화하도록 노인 정책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