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농·특산물과 문화상품의 브랜드화가 경쟁력이 되고 있다.

전국의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지하철·열차광고와 TV 광고를 하고 각종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지역이미지를 제고시키고 농어민들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만이 아니다.

지자체의 브랜드가 높아질 경우 그 지역의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상품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자체가 홍보에 열을 올리는 것은 ‘지방이 경쟁력’이고, 철저한 차별화와 브랜드화만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례로 전남 구례의 야생화 체험 장에 15만명이 다녀갔고, 함평 나비축제는 연간 300만명이 찾으며 경주의 ‘달빛’이 상품화되고 보령머드가 돈이 된다. 괴산고추와 음성고추가 경쟁을 벌이고 옥천포도와 영동포도가 서로 우위다툼을 벌이는가 하면, 경기도 이천복숭아가 음성감곡 햇사레 복숭아로 바뀌는 것은 홍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지자체가 문화축제를 열고 수도권을 겨냥해 앞다퉈 홍보활동에 나서는 것은 시장·군수의 권위만 찾다가는 지역이 황폐화되고 경쟁력도 상실되기 때문이다. 이들이 지자체발전을 위해 외국과 수도권방문이 잦은 것은 지역발전을 위한 고육지책이다.

그러나 단체장들이 아직도 차기 선거를 겨냥해 행사장과 애·경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유권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그들은 선거법을 위반하든 말든 내 집의 애·경사나 지역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 단체장에게는 표를 주지 않는다. 이같은 후진적 지역문화가 단체장들의 발을 묶고 지자체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이원종 충북도지사가 독일 쇼트글라스사를 방문해 오창과학단지에 4억6천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것은 좋은 사례가 된다. 이처럼 전국의 기초·광역단체장들이 외국을 오가며 투자유치를 하고, 세일즈맨으로 변신하는 등 기업유치에 경쟁적인 것이 변화된 트렌드다.

반면, 아직도 지역발전을 위한 변화의 몸부림과 새로운 트렌드를 읽지 못하는 수준이하의 단체장이 많다. 임기 4년은 결코 길지 않다. 유권자들도 현직 단체장들이 지방경쟁력(브랜드화) 강화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따져 2006년 지방선거에서 재신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지방이 곧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