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116명 달해…1~8월 2631억으로 지난해 피해액 200억 초과
40~50대 男 ‘대출빙자’…20~30대 女·고령층 ‘정부기관 사칭’ 접근

올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상반기만에 지난 한해 피해액을 훌쩍 넘어섰다. 일평균 피해액이 10억원에 달할정도로 급증하는 등 범죄 피해예방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최근에는 피해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맞춤형 보이스피싱이 활개를 치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 따라 올해 상반기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규모는 1천80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년간 피해액 2천431억원의 74.2% 에 달한다.

지난 8월말 기준 피해액은 2천631억원이다. 올해 상반기만해도 지난한해 피해액의 200억원을 초과했을 정도로 올해 급격하게 늘고 있다.

피해액은 일평균 10억원에 달했다. 즉 하루 평균 116명이, 1인당 8천600만원 가량 피해를 입은 셈이다.

보이스피싱은 전 연령대에서 고루 발생했다. 올 상반기 연령대별 피해액은 20·30대가 425억원, 40·50대 996억원, 60대 이상이 350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피해자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출빙자와 정부기관 사칭 등의 접근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피해액 중 가장 많은 것은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으로 피해금액 비중이 70.7%에 달한다. 대출빙자형은 고금리 대출자에게 전화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접근하는 방식이다.

피해자가 관심을 보이면 기존 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서 저금리대출이 가능해진다며 자신들의 계좌로 입금하게 한다.

대출빙자형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494억원(3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351억원(27.9%)이었다.

정부기관 사칭형은 정부기관 사칭형의 경우 여성, 특히 고령층 피해가 컸다. 자신이 검찰 수사관인데 피해자 명의가 사기 사건에 도용됐다고 속이며 접근한다.

이 과정에서 이메일로 가짜 사건 공문과 가짜 신분증 사본을 보내 악성 앱을 깔게 한다.

이어 금감원 1332로 전화해 피해 금액을 확인하라고 하는데 이를 따르면 악성 앱을 통해 금감원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에게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사기 사건과 관련 있는지 계좌 조사가 필요하다며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자 중엔 20∼30대 여성 비중이 3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고령층도 31.6%였다.

대포통장도 증가세다. 보이스피싱에 이용돼 지급정지된 ‘대포통장’은 올해 상반기 2만6천851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8% 증가했다.

대포통장은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 대포통장 수가 9천716건으로 전년 동기(6천287건)대비 54.5%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찰이나 경찰, 금감원을 사칭하거나 금융회사라며 대출해준다고 돈을 보내라고 하면 일단 의심하라”면서 “만약 사기에 속아 현금이체한 경우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사에 직접 신고해 지급정지를 신청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