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희 수필가

 

나막신인가, 아니 나뭇잎 배인가. 움푹하게 들어간 타원형의 투박한 접시에 자꾸 눈이 갔다. 앞에서 보면 영락없이 나막신인데 옆에서 보면 어릴 때 도랑에 띄우고 놀던 나뭇잎 배의 모습이다. 그릇 한 개를 이렇듯 낯설어 보이게 만들 수 있다니. 볼수록 신기하고 특이해 그릇에서 눈을 거둘 수가 없었다.

같이 근무하던 분이 퇴직하고 도자기 학과에 진학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어느새 공방을 차렸다는 연락이 왔다. 30년간 한 직장에만 근무하던 사람이 새로운 분야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모두 걱정스러워했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공방까지 차렸다 하니 직원들도 내심 부러워하는 눈치였다.

30평쯤 되는 아담한 공방에는 자신이 만든 도자기도 있었지만 이름 있는 도예가가 만든 생활자기가 많았다. 작은 접시부터 장식용 항아리까지 종류가 다양했다. 가격대도 천차만별이었다. 유명한 도예가의 이름이 붙어 있는 고려청자를 닮은 도자기 하나가 수백만원이 넘는 것도 있었다.

첫 방문이고 초대받았으니 무엇인가 팔아줘야겠다는 생각으로 공방을 돌아보다가 내 눈에 들어온 것이 나막신을 닮은 그릇이다. 첫눈에 들더니 공방에 있는 내내 눈에서 떠나지 않았다. 나뭇잎 배 같으면서 나막신처럼 도톰한 굽이 달린 것이 반찬 접시나 볶음밥 같은 것을 담는 밥그릇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았다.

주위를 돌며 접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내 심중을 알아차렸는지, 공방에 나와 있던 지인의 부인은 “그 접시는 여기 들어오는 사람이면 누구나 한 번씩은 만져보고 가격을 물어보는 인기상품이에요.”라고 했다. 똑같은 접시를 두 개 사고 마음에 드는 다른 그릇을 주섬주섬 고르다 보니 꽤 많은 돈이 나갔다.

안면 때문에 돈을 쓰게 하는 것 같아 미안하다며 안절부절못하는 지인을 뒤로하고 공방을 나오며 여러 가지 생각이 겹쳐졌다. 이 그릇을 만든 도공은 어떤 생각을 하면서 물레를 돌렸을까. 내 생각처럼 나막신이나 나뭇잎 배의 모습을 생각하며 만들기는 했을까?

도자기는 도예가의 생각으로 빚는다. 도공은 머릿속에 있는 그림을 꺼내 기형을 만들고 성형하면서 원하는 모양을 만든다. 도공이 돌리는 물레의 속도나 시간에 따라 투박하거나 아주 섬세한 기물이 만들어진다. 원하던 형태가 만들어지면 도공은 손으로 매만져 모양을 바로잡고 밑그림을 그려 넣어 말린 다음 가마에 넣어 초벌구이를 한다. 초벌구이를 마쳐야 비로소 도자기의 역할이 정해진다. 초벌구이한 도자기는 항아리, 커피잔, 접시, 밥그릇 등,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그림이나 글씨를 새겨 넣고 유약을 발라 다시 재벌구이에 들어간다.

이렇게 여러 차례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기물을 1200도가 넘는 불가마 속에서 20시간 이상 다시 구어야 비로소 도자기가 완성된다. 그러나 여기서도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완성되어 나온 도자기가 도공의 눈에 들지 않으면 바로 깨뜨려 버린다. 그 모습을 보는 사람들은 아까운 것을 왜 깨뜨리느냐고 하지만, 도공의 눈에는 자기가 구워낸 도자기에서 생명력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엄마가 될 준비를 하고 가장 건강한 시기에 아이를 잉태하는 산모처럼, 도공이 가마에 불을 때는 날은 새벽 일찍 일어나 씻고 신성한 마음으로 불을 지핀다. 그만큼 도공에게는 도자기 굽는 일이 자식을 생산하는 일이나 마찬가지로 소중하기 때문일 게다.

도공이 흙으로 귀한 예술품을 만드는 것처럼 친정어머니도 나를 그렇게 빚었을 것이다. 아주 작아 눈에 보이지도 않는 미세한 생식세포를 받아들여 안전하게 착상시키고, 좋은 것만 보고 좋은 음식만 드시며 태어날 아기를 기다렸을 것이다. 건강하고 정상적인 아기를 낳으려고 아파도 약을 먹지 않고 견뎌야 하는 어머니의 마음이 가마에 불을 때는 도공의 정신과 같으리라.

어머니가 나를 귀하게 낳았듯이 나 역시 딸애를 임신했을 때 세상에서 나 혼자 아이를 가진 것처럼 유별나게 열 달을 보냈다. 퇴근해 돌아오는 남편은 배 속의 아기에게 기타를 치며 좋은 노래를 불러주었다. 아기가 아빠를 기억하도록 남편은 자주 목소리를 들려주었다. 우리 부부는 아이가 예쁘고 건강하게 태어나도록 반듯하고 좋은 생각만 했다. 태교 음악을 듣고 책을 읽으며 태아한테 좋지 않은 음식은 아예 손도 대지 않았다.

도공의 이름값을 하는 귀한 도자기는 도공의 혼이 들어간 작품이다. 평생 한 개의 소중한 작품을 만들려고 몇 번이나 옹기를 깨뜨려버리는 도공처럼, 나도 열 달 동안 딸애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품어 순산했다.

유난히 힘들고 긴 입덧 때문에 어렵게 얻은 자식이라 출산의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었다. 하나뿐인 딸애가 자라면서 성장통을 앓을 때도 쉽게 깨지지 않고 넘치지 않는 그릇으로 키우려고 무던히도 애썼던 것 같다.

늘 품 안에 자식처럼 여기던 딸애가 대학을 졸업하고 벌써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아침에 화장하고 출근하는 딸애를 볼 때면 딸애의 그릇엔 무엇이 담겨있을까 궁금해진다.

사 온 접시에 잘 익은 김장김치를 포기째 담아 저녁상에 올려놓으니 훨씬 제 모습이 살아났다. 마치 긴 머리를 질끈 동여매고 물레를 돌리며 땀을 닦는 도공의 모습을 보는 듯했다. 호기심에 김치가 담긴 그릇을 살짝 옆으로 돌려놓았다. 조금 전까지 나막신 같던 접시가 금세 나뭇잎 배가 되었다. 도공은 이 그릇을 만들 때 무엇을 담을 생각으로 물레를 돌렸을까. 혹시, 예쁜 꽃을 꽂아둘 수반으로 만들었는데 내가 감히 김치를 담은 것은 아닐까?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