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성적표가 배부되자 고등학교에는 또 다른 형태의 혼란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학생들은 학생들대로 자신이 받은 점수를 가지고 어느 대학에 진학 할 수 있는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하고, 교사는 교사대로 학생들에게 적절한 진학지도를 할 수 없어 난감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이번에 처음 도입된 표준점수제에 의해 선택과목에 따라 표준점수 격차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준을 잡을 수가 없다. 표준점수에 따른 대학 지원에 참고할만한 배치표 등의 입시자료가 없어 대학과 학과를 어떻게 지원하느냐가 합격과 불합격의 변수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대학입학 전형 시기가 비슷한데다가 대학지원시 고려해야 할 사안은 많아져 충실한 진학상담이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까지 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공교육 정상화를 기치로 내걸고 수능시험 개선안을 마련했던 본래의 취지가 무색해지도록 사설학원의 정보에 공교육이 매달리는 현상마저 보인다. 또 수능 난이도 조절 실패에 따른 혼란현상도 나타난다. 윤리나 한국지리, 국사 등의 과목은 문제자체가 너무 쉬워  실력보다는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됐다고 평가할 정도이다.

오죽하면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된 과목을 고른 수험생은 ‘로또 당첨’으로,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지뢰밭 밟았다’고 표현될까. 이처럼 대혼란을 겪게 만든 수능제도에 대해 전반적 재검토가 필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학생들의 불만 가운데 ‘점수를 잘 받고 싶으면 자신이 선택한 과목이 어렵게 출제되기만을 바라고, 앞날을 그 날의 운에 맡기는 수 밖에 없다’는 얘기가 있다.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교육현장에 벌어지는 게 오늘의 현실이다.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을 이용한 수능부정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아직도 수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수능점수  공개결과 표준점수제, 난이도 조절조차 문제 투성이라는 사실이 확인돼 수능 자체의 신뢰성에 큰 손상을 입었다.

당국에서는 제반 문제점을 면밀히  점검해 학생들을 실험 대상으로 삼는 듯한 입시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