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폭염과의 전쟁이다. 정부가 이번 폭염을 ‘특별재난’에 준하는 대책 마련에 나선데 이어 여·야도 7일 폭염과 혹한을 특별재해에 포함시켜 국가 차원에서 피해 예방과 지원을 해주는 재난안전법 개정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한파의 상시화에 대비해 법적 제도적 기반을 정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적절하고 타당한 대응으로 보인다.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밥상물가가 심상치 않다. 사상 유례없는 더위에 농작물 과 가축 피해가 커지면서 채소와 과일, 축산물 가격이 치솟고 있다. 농·축산물 대란 우려가 현실화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6일 기준 전국에서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 수는 총 453만409마리(닭 425만7천68마리, 오리 20만9천18마리, 메추리 4만6천마리, 돼지 1만7천819마리, 관상조 500마리, 소 4마리)로 집계됐다. 지난해 여름 이맘때보다 289만5천마리보다 56.5%(163만5천409마리) 늘었다.

농작물 피해도 상당해 채소와 과일 등 1천16.9㏊에서 폭염에 따른 생육장애로 적어도 예년보다 10∼20%의 수확 감소가 예상된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양식장 어패류도 폐사 위기에 처해 비상이 걸렸다.

이는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표한 요즘 농산물 도매가격을 보면 무와 양배추는 평년보다 120% 가까이 폭등했다. 시금치는 평년의 107%, 수박은 57%, 복숭아(백도)는 35%, 포도(캠벨)는 32%, 배추는 19%가 뛰었다. 닭고기는 21%, 소고기(한우·지육)는 6.9% 올랐다.

폭염이 조금 더 길어지고 농축산물의 가격의 가파른 상승이 이어지면 얼마 남지 않은 추석 물가까지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단기 회복이 어려운 농축산물의 특성상 공급 부족 여파가 한 달 이상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선제적인 수급대책이 요구된다.

먹거리 외에 수입물가와 공공요금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국제 유가의 고공행진으로 국내 주유소 기름값도 오름세가 지속되는 데다 지방선거로 그간 억제돼 온 택시·버스·상하수도 요금 등도 인상을 앞두고 있다. 당장 충북만 해도 청주시를 비롯한 보은·영동·증평·괴산·단양군이 이달 또는 내년부터 상수도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 서민들의 고통이 이래저래 더욱 가중될 상황이다.

가정주부들이 장보기가 겁난다고 하소연이다. 정부는 당장 생활물가부터 관리에 나서 서민들이 안도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이제 폭염 피해는 올해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매년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고 있다. 당국은 이번 기회에 폭염 피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장기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