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 서식지인 원흥이방죽 보존  문제를 놓고 대립하던 한국토지공사와 원흥이생명평화회의가 우여곡절 끝에 타결을 이뤘다.

그간 청주산남3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원흥이방죽 보존 방안을 둘러싸고 벌어진 토지공사와 평화회의 간 마찰은 지역사회의 주요 갈등현안 가운데 하나였다. 보다 더 완벽한 보존방안을 요구하는 평화회의와 택지개발지구가 처한 현실 여건상 평화회의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토지공사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며 맞서 왔다.

평화회의는 공사현장 농성, 삼보일배, 단식농성을 비롯해 청주지방검찰청ㆍ지방법원 앞 60만배,  청와대 앞  3천배, 충북도청 광장 천막농성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했다. 이 과정에서 몸싸움과 물리적인 충돌도 있었으나 합의서 교환과 함께 쌍방의 고소ㆍ고발을 모두 취하하기로 했다.

우선, 양측이 합의에 도달한 점에 대해서는 다행스럽게 받아들이지만 아쉬움도 적지 않게 남겼다.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주장을  경청하고 합리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수용할  자세가 전제돼야 함에도, 자신들이 정해 놓은 선(線)만은 넘을 수 없다는  배수진을 쳐 문제를 어렵게 끌고 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앞으로도 개발과 환경이라는 두 개의 가치가 충돌하는 현장이 많아질 게 분명하다.

상황을 고려해 어느 가치를 더 우선시 할 것이냐는 판단이 서겠지만, 환경을 무시하는 개발은 난개발이 되고, 개발을 외면하는 환경은 시대에 뒤떨어지기 십상이다. 이번 원흥이 사태를 교훈 삼아 개발과 환경이 서로 배척 대상이 아니라 조화의 대상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 첨예하게 부딪히는 양측의 중간에서 곤혹스러울 수  밖에 없었던 충북도의 입장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명확한 자세를 보여줬어야 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명쾌한 자기 입장 없이 눈치나 보며 질질 끌려 다니는  모습은 보기에도 민망했다.

시대적 추세로 볼 때 충북도와 같은 광역자치단체는 갈수록 이해관계와 가치관을 달리하는 집단 사이에서 통합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원흥이’는 충북도에 커다란 숙제를 던져준  셈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