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의 공식 선거운동이 끝났다. 오늘 투표장으로 나가 지역 일꾼을 선택하는 일만 남았다. 앞으로 4년 우리 지역의 행정과 살림살이, 교육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할 이들을 뽑는 일이다. 책임자를 잘못 앉힐 경우 지역에 돌이키기 힘든 고통과 분란을 안겨줄 있는 만큼 투표에 꼭 참여하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6·13 지방선거는 역대 최악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번 선거는 처음부터 지역을 발전시킬 정책 대결보다는 네거티브가 판을 쳤다. 가뜩이나 남북, 북미 정상회담 등 초대형 이슈가 국민의 관심을 선점한 상태다.

무능한 야당들로 인해 선거 판세도 일찌감치 기울지면서 흥미는 더욱 반감됐다. 그럼에도 후보자들은 능력 경쟁보다는 진위 파악이 모호한 사실로 상대를 깎아내리는 일에만 혈안이 됐다. 특히 경기도지사 선거의 ‘여배우 스캔들’에서 보듯 전국 각지에서 막판까지 비방·폭로전이 난무했으니 유권자들이 주목할리 만무하다.

후보자간에 정책·공약을 놓고 설전을 벌이는 모습을 보고 싶어 했던 유권자들로서는 투표를 포기하고픈 마음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나마 위안을 찾자면 지난 8∼9일 치러진 전국 사전투표율이 20.14%를 보였다는 점이다. 진흙탕 선거전 속에서도 2014년 지방선거(11.49%)의 1.8배에 육박하는 예상 밖의 열기였다. 충청권도 충북 20.75%, 대전 19.66%, 충남 19.55%, 세종 24.75%로 4년 전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 때문에 이번 지방선거 최종 투표율이 23년만에 마의 60% 벽을 돌파할 수 있을지에도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은 첫 민선 지방선거였던 1995년 1회 때 68.4%를 기록한 이후 한 번도 60%를 넘지 못했다.

정치권의 이전투구에는 신물이 나지만 한탄만 해서는 세상은 달라지지 않는다. 더욱이 지방에 더 많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기 위한 분권형 개헌이 논의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의 권한과 영향력이 한층 확대될 것이다. 중앙에 예속되기보다는 지역을 위해 헌신할 유능한 인물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꽃인 지방자치의 미래를 위해서도 어느 때보다 지역의 주인인 유권자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한다. 도덕성이 떨어지고 신념과 철학이 빈곤한 후보가 당선되는 우를 범하지 않으려면 투표하는 일부터 시작하자. 유권자의 의무를 포기해놓고는 정치권에 불평불만을 쏟아내는 것이야 말로 민주시민이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다.

이번 선거가 끝나면 매번 적폐로 지적되는 지방선거 출마자의 정당공천제도도 바꿔야 한다. 정당의 공천은 줄 세우기, 편 가르기로 이미 오래 전부터 폐지가 요구돼 왔다. 국회는 유권자보다는 공천권자만 쳐다보는 후보가 선택되는 지방선거가 지역정치를 얼마나 후퇴시키고 부작용을 양산해왔는지 직시하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