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공무원 파업 사태와 관련, 엄밀히 말해 한 가족이나 다름없는 괴산군과 증평군 공무원들이 보여준 자세는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증평이 91년 시(市) 승격을 전제로 충북도 증평출장소 체제로 출범한 이후 지난 해 8월30일 군(郡)으로 승격되기까지의 행정구역상 명칭은 괴산군 증평읍이었다. ‘한지붕 두가족’인 셈이었다. 증평이 극적으로 자치단체로 출범할 당시 양 지역 주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증평은 잔칫집 분위기였지만 괴산은 그 반대였다. 증평읍과 도안면이 떨어져 나가면서 생긴 상대적 박탈감과 함께 괴산군 공무원 정원 감소라는 불이익이 돌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느덧 옛 이야기가 됐다. 두 자치단체는 모두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해 왔고 지역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가 될 기반도 대폭 확충되면서 활기가 넘쳤다. 증평∼괴산간 국도 4차선이 확장·포장됐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발전을 이끌어야 할 두 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자세가 이번 파업사태에서 여실히 갈렸다.

괴산군은 파업에 동참하거나 간접 참여한 공무원이 135명에 달했다. 충북도내 각 시·군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다. 반면 증평군은 단 1명도 없다. 양 지역 주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괴산은 노조 파업을 비난하고 나섰지만 증평에서는 칭송에 인색한 사회단체로부터 환영의 성명이 나오기도 했다. 이번에 징계받게 되는 공무원 숫자로만으로도 신생 자치단체인 증평이 괴산은 물론 다른 시·군에 주는 교훈이 크다. 지금 상황이 어떤가. IMF 체제 때보다 더 살기 힘들다고 아우성이다. 상가에 빈 점포가 수두룩하고 밤에는 거리를 돌아다니는 사람을 구경하기조차 힘들다. 실업자는 늘고 지속되는 환율 하락으로 수출업체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런 심각한 상황은 국내·외적 요인이 크겠지만 주민을 대신해 정책을 추진하는 공무원도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이번에 자치단체의 막내인 증평군 공무원들이 보여준 자세는 주민과 함께 어려운 여건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는 공복(公僕)의 자세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비록 ‘시작은 미약했지만 창대한 내일’을 위해 노력하는 증평군 공무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