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시철을 앞두고 지방대학 마다 신입생 모집난 해소를 위해 비상체제에 들어갔으나 뾰족한 묘안을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충북지역에 소재한 대학들도 매년 신입생 등록률이 저조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현상이 점차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방으로 갈수록, 그리고 국립대 보다 사립대로 갈수록 그 정도가 심하다.

국립대의 경우는 국가예산 지원을 받기 때문에 형편이 조금 낫지만, 사립대의 대부분은 대학운영 경비를 학생들의 등록금에 거의 의존하므로 등록률 저조는 바로 대학운영의 어려움과 직결된다.

 신입생 모집에 몇 년간 실패한 대학은 심각한 운영난에 빠져 대학의 존폐를 염려해야 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학들은 수능시험이 끝나는 때를 맞춰 연예인 초청이나 문화행사 등을 준비해 졸업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입시 설명회를 여는 게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노력을 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근본적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고교졸업생 보다 대학입학 정원이 더 많은 구조상의 문제를 일시적인 여흥 프로그램 수준으로 극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현실 인식이다. 대학 경쟁력은 교수 경쟁력에서 나오고 이는 학생들의 실력으로 이어진다. 연구하지 않는 대학과 교수는 도태되고, 공부하지 않는 대학생은 사회 진입에 낙오한다. 지금의 사회 추세가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대학 출신이라서 불이익을 받았다고 불평만 한다면 난감해 진다. 또 대학들은 스스로 무리하게 늘린 정원을 감축하고, 비슷비슷한 학과를 신설했던 방만한 구조를  먼저 조정해야 한다. 전에 없이 어려운 대학 실정은 이해하지만, 경쟁력도 없으면서 몸집만 커진 채 자구 노력을 게을리 하는 대학이 국민의 혈세로 떠 받쳐달라고 요구하는 건 무리가 아니겠는가.

전국의 모든 대학이 같은 현실에 직면했지만, 여러 가지 여건상 특히 지방대학의 자구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