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총체적인 투명도는 표본으로 선정된 세계 35개국중 31번째이고 특히 회계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은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 이근수교수(한국회계학회 회장)는 대한상의 등이 3일 상의회관에서 공동개최한 `경제사회 불투명지수의 개선방안’에 대한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 프라이스워터하우스 쿠퍼스(PWC)의 조사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소개했다.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 5대 회계법인 중의 하나인 PWC가 최근 지리적 위치와 상대적인 소득정도에 따라 세계 35개국을 선정한뒤 국가별 불투명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의 총체적 투명도는 31위로 낮게 평가됐다고 이교수는 밝혔다.

국가별 총체적인 투명도에는 부패, 법적제도의 투명성, 경제정책의 투명성, 회계와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 규제의 불투명성 및 자의성 등 5개 요인이 반영됐다. 국가별 투명도는 싱가포르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국과 영국 등의 순이었으며 한국은 인도네시아, 루마니아, 터키 등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중국이 가장 낮았다.

특히 한국은 총체적인 투명도를 결정하는 5개 요인중 하나인 `회계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은 최하위를 차지했고 `규제의 불투명성 및 자의성’은 32위, `법적제도의 투명성’은 31위, `경제정책의 투명성’은 23위, `부패’는 19위로 각각 나타났다. 총체적인 불투명도로 인해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기업은 국가투명도가 가장 높은 싱가포르에 비해 세금을 35%가량 더 부담해야 하고 기채 금리도 싱가포르보다 9.67% 높은 추가적인 위험요소를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교수는 “불투명도를 개선하는 길은 원론에 충실하면서 사회 각분야의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가야 한다”며 “특히 회계의 투명성 확립은 어느 분야보다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