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헌법재판소이 신행정수도 이전 위헌결정과 관련, 충청권의 반발은 날로 거세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은 초상집 분위기다.

아파트시장은 깡통 아파트의 출현이 눈앞이다. 토지시장은 묻지마 투자에서 무조건 팔자의 장세로 급하게 변하고 있다. 충청권시장은 신행정수도와 관련된 각종 호재가 이어지면서 투기장세를 방불케 했다. 토지 값은 보통 3~6배, 아파트값은 보통 3천~4천만원에서 많게는 7천만원, 대전 일부지역은 2억원까지 프리미엄이 형성될 정도였다.

발빠른 투기꾼이나 전문가들은 지난 7월 신행정수도이전 관련 헌법소원 제기와 함께 상당수 충청권시장에서 빠져나갔다. 막차를 탄 60% 이상의 지역농민들은 농촌주택을 팔고 2금융권 대출을 통해 투자했다.

그러나 위헌 판결이후 금융권의 태도가 돌변했다. 자금관리 등 부실금융 방지차원에서 앞다퉈 대출자금 회수에 나서고 있다. 이는 곧 가계 및 건설업계, 금융권 등 줄 도산으로 확산될 수 있다. 결국 지역경제 회생에 상당한 타격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충청권을 중심 축으로 한 참여정부의 전국 균형개발계획은 수정·후퇴할 수밖에 없게 됐다. 지가 거품은 시간이 지나면서 걷힐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일반 투자자들은 장기간 자금이 묶이는 상황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종합대책이 연내 발표돼 시장 호재로 부상하지 않은 한 토지시장의 정상화는 요원하다. 정부는 헌재 판결내용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업형 신도시나 행정타운 건설 등을 서둘러야 한다. 또 청와대와 국회, 대법원을 제외한 정부와 산하기관 최대 245개 기관을 포함한 종래 신행정수도에 준하는 특별행정도시 건설도 검토해 봐야 한다.

정부는 성난 충청권의 민심을 달래야 한다. 고강도의 정부 대책만이 그나마 충청권 주민들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 충청권 주민들은 이제 더 이상 정부나 정치권의 노리갯감이 되지 않으려 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