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마성산성 가는 길은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땀을 너무 많이 흘려서 조금 지치는 기분이다. 동평산성에서 마성산성으로 향하는 길에 군서면 소재리로 바로 내려가는 길이 있었다. 이정표에는 소재리까지 1km라 했으니 30분이면 충분하다. 이정표의 유혹에 더 지친다. 유혹을 물리치고 마성산으로 향한다. 오늘처럼 내리막길의 유혹을 받아 보기는 처음이다. 나는 지쳐도 올라간다. 한 봉우리를 남기고 편편한 그늘을 찾아 점심을 먹었다.

점심을 먹고 한 30분 정도 올라가니 마치 너덜지대처럼 돌무더기가 나타났다. 처음에는 너덜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너덜이라고 하기에는 돌이 정교하다. 돌을 하나하나 만져보니 다듬은 흔적이 뚜렷하다. 돌무더기가 끝나는 지점에 누군가 돌탑을 두세 개 쌓았다. 밟을 때마다 기우뚱거리는 돌을 조심스럽게 밟으며 올라갔다.

잡목 속에서 ‘마성산’이란 표지석이 보인다. 드디어 마성산성이다. 마성산성 안내판이 나뭇가지 속에 숨어있다. 탁 트였을 전망은 우거진 잡목이 가렸다. 마성산성도 신라계 산성이라고 한다. 용봉산성, 동평산성, 마성산성이 모두 관산성의 부속산성이거나 주변 경계를 위한 보루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우거진 잡목을 헤치고 관산성과 반대쪽을 내려다보았다. 금산군 군북면에서 옥천군 군서면 금천리로 오는 계곡이 훤하게 다 내려다보인다. 금산군을 거쳐 옥천 고을로 이동하는 군사, 수레, 물자, 인마가 손바닥 보듯 다 보일 것 같다. 

무너진 돌무더기로 보아 상당히 높은 성이었을 것이다. 둘레는 작고 높이가 높으면 망루였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가들이 아직도 정확하게 고증해내지 못한 관산성의 위치는 분명 이곳 삼성산성일 것이다. 3개나 되는 부속산성을 거느리고 있고, 옥천 고을을 방어하는 기능을 충분히 했을 것이며, 월전리 성왕 사절지가 지척인 곳이라면 이곳이 분명하다. 환산의 고리산성은 정지용 문학관이 있는 옥천 구읍에서도 너무 멀다.

사람들은 이곳에 와서 무슨 의도인지 모르지만 성 돌을 주워서 돌탑을 쌓았다. 돌탑을 쌓은 이도 분명 의미 있는 생각은 있었을 것이다. 잘한 일로 착각하겠지만 사실은 문화재를 훼손하는 일이다.

내리막길은 단순하지 않았다. 용암사로 내려가야 하는데 장령산 산림욕장으로 내려가고 있었다. 한 20분 내려간 길을 한 30분 걸려서 다시 올라왔다. 그리고 용암사 쪽으로 능선을 탔다. 처음에는 길이 뚜렷했으나 점점 길이 모호해진다. 쉬지 않고 내려와 겨우 임도를 만났다. 그러나 걷기는 산보다 좋아도 시멘트 포장 임도를 거의 1시간을 걷는 동안 다리가 더 아프고 발이 아프다. 용암사는 다음으로 미루고 서둘러 돌아올 생각을 했다.

삼청리 저수지에 저녁 햇살이 반사된다. 장령산 산그늘이 빠른 걸음으로 마을을 덮는다. 머리가 지끈지끈하고 어질어질하다. 땀을 많이 흘렸다. 근처에서 아침에 주차한 곳으로 가려고 버스나 택시를 대책 없이 기다리는데 순찰차가 한 대 온다. 버스시간을 물으니 버스는 하루에 두 번밖에 안 다닌단다. 내가 택시를 물으려는데 아들이 아버지가 많이 지쳤으니 차 있는 곳까지 태워 달랜다. 경찰관들이 쾌히 승낙한다. 아주 쉽게 출발지에 왔다. 고맙다. 우리를 기다리는 코란도 승용차가 구세주만큼 반갑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