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어로서 세계에 많이 알려진 단어로는 ‘태권도’와 ‘김치’ 정도로 보인다.

일단은 우리말이 영어로 등재되어야 더 광범위하게 퍼진다는 속성은 상식이다.

김치의 예처럼 순수 우리말이 브리태니커와 같은 백과사전에 등록되기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그 사이 일본과‘김치’와 ‘기무치’의 표기문제로 옥신각신하던 기억도 새롭다.

당연히 ‘김치’가 ‘기무치’로 변해서는 안 될 일이지만, 일본서 김치를 만드는 사람들도 알고 보면 재일동포나 귀화한 한국계 일본인이 김치공장을 운영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결국 김치나 기무치나 모두 한반도 관련 인물들이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고대에 한반도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아스카와 나라 문명을 이루던 때와 비슷한 패턴으로 보인다.

한때 ‘신토불이’라는 말이 유행했던 것처럼 토종 식품이나 특산품이 의외로 세계화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우리가 즐겨먹던 식품이나 특산품을 김치처럼 서둘러 영어화 할 필요가 있다.

일본인들이 음식 간을 맞출 때 반드시 필요하다는 조미료로 ‘사.시.스.세.소’를 든다. 즉, 사또(설탕), 시오(소금), 스(식초),쇼-유(간장),미소(된장)를 말한다.

간장만 봐도 이는 몽골~만주~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전해진 식품이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콩이 필요하고 콩으로 메주를 써서 두부도 만들고 된장도 만드니 이 모든 절차가 일본에 그대로 전해진 것이다.

그런데도 서양인이 알기로는 두부는 ‘토오후’로 된장은 ‘미소’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물론 두부를 기후현의 한 산골 마을에서는 ‘도부’라 한다는 소리를 일본서 들은 일도 있어 매우 신기해했던 기억도 있다.

일본서도 요즘 한국식 비빔밥이 인기가 있어 고추장도 많이 먹게 되었다. 물론 비빔밥 발음이 힘들어 ‘비빔빠’로 ‘밥’의 받침인 비읍이 탈락하고 강하게 ‘빠’로 변하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장가 안 간 ‘총각’을 일본에서는 ‘총가’로 불리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보면 된다.

일본의 한식당에서 비빔밥 먹다가 너무 싱거워 고추장 좀 달라하니, 거칠게 빻은 고춧가루에 간장을 넣어 빡빡하게 믹스한 것을 갖다 준 적도 있다.

겉모습만 같지 만들어진 과정은 전혀 틀리고 고추장 맛도 아니었다. 정말 황당한 고추장이었다. 그런데 비빔밥이 ‘비빔빠’로 알려지고, 고추장도 일본 것으로 세상에 먼저 알려진다면 이 또한 우리로서는 황당한 일이 될 것이다.

고추장은 이제 우리만 먹는 식품이 아니다. 바야흐로 우리만 먹을 것 같았던 고추장도 김치처럼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는 중이다.

요즘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에 대해서도 한·중·일이 국제표준을 놓고 자국 기준으로 하려한다는 뉴스를 보고 놀란 적이 있다.

그 매운 고추장도 국제화 되어가니 한류열풍이 대단한가보다. 그러나 한류열풍과 함께 이제 우리의 할 일도 그만큼 많아졌다.

한국 문화의 전파와 더불어 외국인들의 한글시험보기도 유행처럼 번져가듯이, 김치처럼 우리가 만든 독특한 식품이나 특산품 명(名)도 하루빨리 브리태니커 같은 백과 사전에 등재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 이름으로 세계화돼야 국익에 도움이 될 무형자산이 그만큼 늘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고추장이나 된장, 두부, 간장, 비빔밥 이외에도 불고기, 인삼으로 하루 빨리 영어사전에 등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특히 간장, 두부, 불고기(야끼니꾸) 등은 일본어로 더 많이 알려져 있어 대응책을 서둘러야 할   때이다.

장 팔 현 <충북대 정치외교학과·문학박사>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