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신원사에 머무는 동안 시나브로 기우는 해가 계룡산 산그늘을 검은 치맛자락처럼 드리우기 시작했다. 신원사의 다른 전각은 훗날로 미루고 서둘러 고왕암으로 발길을 돌렸다. 낙락장송의 숲길이 좋아 걸어가면 좋으련만 시간이 너무 늦어 승용차에 올랐다. 가풀막진 길이라 자동차도 힘겹다. 차머리 바로 앞길이 보이지 않는다. 느낌으로 가속페달을 밟을 때마다 엷은 두려움이 엄습했다. 내려올 때가 더 걱정이 되었다.

마지막 경사로를 오른 다음 금릉암 작은 주차장에 차를 세웠다. 여기부터 오솔길을 걸어야 한다. 좁은 시멘트 포장길을 천천히 걸어 장송이 우거진 모롱이를 돌아가니 작은 공터가 나왔다. 그 자리에 서서 계룡산 준령들을 올려다보았다. 멀리 아직도 눈이 쌓여있는 연천봉이 하얀 머리를 내민다. 산은 어느 산이나 어디서 보나 장엄하다. 오솔길은 이름만큼 순탄하지 않다. 자갈이 구르고 바윗돌이 삐죽삐죽 올라왔다. 나무뿌리가 만질만질하게 닳아 몇 번이나 미끄러져 넘어질 뻔했다. 계절을 감지하지 못한 두툼한 옷에 땀이 밴다. 오르막길이다. 주변에 단풍나무 같은 온갖 활엽수들이 빼곡하고 집채만한 바위들이 포진했다. 과연 왕자가 피신할 만한 곳이다. 아마도 돌계단은 최근의 부지런한 스님이 조성한 것 같다. 아름드리나무들과 주변 바위를 이용해서 교묘하게 돌계단을 만들었는데 웬만해서는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았다.

조릿대 숲을 지나니 고왕암의 처마가 보였다. 잠시 서서 땀을 식혔다. 왕자도 이곳쯤에서 땀을 식혔을까. 부왕과 태자 부여효는 잡혀가고 패망한 나라와 백성을 버리고 이곳까지 도망쳐올 때 그 심정이 어떠했을까. 부왕에 대한 원망이 있었을까. 자신을 돌아보며 수없이 후회했을까.

고왕암 마당에 들어서니 절집보다 더 커다란 바위가 막아선다. 고왕암이란 현판을 달고 있는 법당은 산 밑에 바짝 의지하고 서 있다. 법당은 신원사를 바라보고 있고 백제 온조왕부터 의자왕까지 혼령을 위로하려고 세웠다는 백왕전은 본전을 시위하고 있다. 법당을 지키듯 서 있는 맞은편의 커다란 바위벽에는 마애약사여래불이 부조되어 있다. 법당에 들어가기 전에 스님의 거처가 있었다. 스님은 안 계신지 고요하다.

법당에 들어갔다. 중년의 남자 신도 한 분이 묵상에 잠겨 있다. 바닥이 차다. 나는 방석도 깔지 않고 불전을 놓고 삼배를 드렸다. 부처님을 우러러보았다. 나는 아미타부처님과 석가모니부처님을 잘 구분하지는 못한다.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부처님은 그 수인으로 금방 알 수 있는데 말이다. 고왕암은 현판이 고왕암이니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백제 31왕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백왕전이 있으니 아미타부처님을 모셨을 것이라 짐작이 간다.

백왕전은 커다란 자물쇠로 잠겨 있다. 바위벽에 부조로 새겨 모신 약사여래를 돌아보았다. 자연석에 새겼는데 매우 섬세하고 아름답다. 옷자락의 늘어진 선이 금방 손을 들어 움직인 모습이다. 입술, 눈썹, 코의 모습도 살아 미소 짓고 있다. 이마에서 금방이라도 땀방울이 구를 것 같은 느낌이다.

자연굴, 법당, 원효굴 다 돌아보았으나 막상 융피굴(피왕굴이라고도 함)을 보지 못했다. 안내도 없고 주변에 석굴은 보이지 않았다. 쉽게 찾을 수 있으면 피신처가 될 수도 없었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