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명대 경영학과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대세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의제로 삼은 이후 한국에서는 국가 차원의 아젠다로 발전하고 있다. 경영관련 학회나 세미나에 참석해 보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일찍이 4차 산업혁명 시작 국가는 독일이다. 독일에서는  2011년부터 ‘인더스트리 4.0’이라 불리는 제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의 기본 목표는 사물인터넷, 로봇, 빅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생산이 이뤄지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하는 것이다. 인더스트리 4.0을 선도하는 기업은 지멘스 보쉬 아디다스 등이다.

사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다. 실제 이를 준비하거나 실행하려는 기업의 특성이 달라 산업현장에서는 겪는 애로 사항은 이만저만 한 것이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특징으로 ‘개인화된 고객의 요구사항 반영’과 ‘조직의 자율성’에 있다. 기업이 목표하는 바는 소위 효율성과 효과성을 달성하는데 있다. 효율성은 경영자가 갖는 내부적인 마음 즉 기술뿐만 아니라 시장의 변화를 감지해서 투입대비 산출을 크게 가져가고자 하는 욕구이다. 효과성은 외부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개인별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마음이다. 기업의 영속적인 발전은 효율성과 효과성의 균형에서 비롯된다.

기업들이 겪는 환경변화는 급변 자체이다. 제품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고객의 욕구도 계속 변화한다. 과거 각광받던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공장 자동화나 유연 생산 시스템이 아니라 다양한 첨단 기술을 통해 생산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를 ‘스마트 팩토리’라고 한다.

독일 기업 아디다스는 2015년 독일 본사 부근에 로봇 생산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스피드 팩토리를 설립했다.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해 발 모양을 측정하고 디자인을 정하면 5시간 만에 딱 맞는 신발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아디다스의 스피드 팩토리처럼 인건비가 싼 국가에서 고객이 있는 곳으로 공장이 이동하기 때문에 독일내 일자리가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다양한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집중식 통제 및 관리가 아니라 부문별 자율성 확보가 필수다. 공장의 기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자율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작동해야 한다. 독일 남부 암베르크에 있는 지멘스 공장은 모든 기계 장치에 통합 소프트웨어에 연결된 1천여 개의 센서가 부착돼 있다. 공장은 기계 이상이나 불량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하루 5천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생산공정과 품질을 개선한다. 데이터에 기반한 생산공정과 품질 개선이 지멘스 경쟁력의 원천이다.

국내 대기업을 비롯해서 중소기업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다. 기업이 처한 입장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내부 엔지니어링 관점의 문제보다는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에 고민해 봐야 한다. 고객을 잘 이해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사람’이다.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 직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만이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준비하는 방법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