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출이가 풍원이 말에 실소를 금치 못했다.

“돈이 될 만한 약초를 좀 파시오. 대신 소금은 후하게 주겠소!”

풍원이가 약초에 대한 두칠이의 장연설을 들은 후에야 본론을 꺼냈다.

“형씨들이 약초에 대해 모르니 눈탱이를 때려도 모르겠지만 친구와 왔으니 그럴 수는 없고, 지난 갈부터 내가 잘 갈무리해놓은 것을 내놓겠수. 마침 우리 집도 소금이 필요하던 터에 잘 됐우!”

“이 소금장사 양반들 청풍에서 예까지 힘들게 고개를 넘어왔어. 그리고 두칠이 니가 마수걸이니 증말 좋은 놈으로 내놔 봐. 만약 찌시래기를 내놓으면 그땐 내 손에 맞어 죽을 줄 알엇!”

익수가 두출이에게 종주먹을 들이대며 때리는 시늉을 했다.

“알었다 이눔아! 니 놈 손에 죽을까봐 겁나서 좋은 놈으로 내와야겠다.”

두출이가 실실거리며 약초더미 속을 다니며 벽과 천정에 걸어놓았던 것을 내려 주섬거리더니 한아름을 안고 나왔다.

“이것들 증말 좋은 놈들이지?”

두출이가 다시한번 확인을 했다.

“보면 모르겄냐? 지난 늦가을에 완전히 물 내린 다음에 캔 상질들이다.”

“물 내린 것은 뭔가요?”

풍원이가 물었다.

“이 양반들 아주 깜깜이구먼. 그래가지고 뭔 장사를 하겠우, 속기 딱 알맞겄소! 약초야 일년내내 캐는 것 아니우. 그런데 그 중에서도 잎새기 떨어지고 줄기 마르고 눈 내리기 직전에 캔 것을 제일로 친다우. 왜냐하면 추운 겨울동안 살아남으려고 모든 양분을 뿌리에 저장을 할 때니 당연히 약효가 젤루 좋지 않겄수?”

“그렇겠구먼요. 그런데 이 약재들 이름은 무엇인가요?”

“허허 그참, 인제 배워 운제 시집 간 다우. 이건 복령이라는 건데 땅속 소나무 뿌리에서 생기는 버섯 같은 거유.”

“땅속에 있는 것을 어떻게 알고 캔답니까?”

두출이가 하는 약초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며 풍원이는 신기한 것 투성이였다. 그러니 궁금한 것도 그만큼 많았다.

“길다란 쇠꼬챙이로 소낭구 밑동을 찔러대다 보면 복령이 찍히면 손에 오는 느낌이 달러유. 그래 캐는 거지유. 복령은 몸이 붓는데 특효약이고, 입이 바싹바삭 마르고 식은땀을 흘리며 잘 놀라는 사람들은 이걸 먹으면 효험을 볼 수 있우. 이건 부인병 증세에 쓰는 당귀고, 이건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와사증에 좋은 시호유.”

“이거 우리 어무이 좀 해먹여봐야겠구먼! 우리 어무이가 지난겨울에 입이 돌아갔는데 안직도 물 먹다 흘리기도 하고 온전치 않어서.”

장석이가 두칠이의 약재 설명을 듣다 중등머리하고 끼어들었다.

“약도 때맞춰 써야지 때를 놓치면 더 힘들어져유. 내가 시호는 넉넉하게 줄 테니 가져가 근하게 달여드리구려!”

두출이가 안으로 들어가 시호 한 다발을 더 가지고 나왔다.

“증말 고맙슈, 고맙슈!”

두출이의 마음 씀씀이가 고마워 장석이가 거푸 고마움을 표했다. 그러더니 봉지를 열고 약뿌리를 하나 꺼내들었다. 그런데 그 약 뿌리 모양이 이상스러웠다. 자세히 보니 줄기는 분명 싹인데 뿌리가 여느 풀과는 전혀 달랐다. 뿌리에는 벌레가 달려있었다.

“이놈은 참 요상한 놈이우. 이놈은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이 된다 해서 동충하초라 하는 놈인데, 이놈은 겨울에는 벌레 몸속에 살며 양분을 빨아먹다 여름이 되면 죽은 곤충의 몸에서 싹을 틔우는 놈이유. 약효도 뛰어나서 만성피로, 염증, 악성빈열, 악성종양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약이라우. 다른 약초들과 달리 동충하초는 마늘 뽑고 모심기 끝난 지금 요맘때 서너 달이 캐기 제일 좋은 때라우. 요 때 시작해 여름 한철 나왔다가 찬바람도 나기 전 싹 사라지는 신기한 놈이우. 발견하기도 힘들고 캐기도 힘들고 약효가 좋아 약재 중에서도 가장 비싼 축에 드는 거유. 내 이것도 드리리다.”  

두출이가 최근에 캔 것이라며 동충하초가 든 약재봉지도 내주었다.

“그런데 금은 어떻게 쳐야 하지요?”

풍원이가 두출이에게 물었다. 흥정은 됐어도 약재들 금을 어떻게 쳐야하는지 알 수 없으니 이상한 풍경이 벌어졌다.

“내 이적지 약재를 팔아봤어도 댁처럼 장사꾼이 되려 물건 값을 물어보는 것은 처음이오!”

두출이가 황당해하면서도 즐거운지 웃음을 쏟아냈다. 보통은 장사꾼이 물건 값을 후려치면 물건 주인은 더 달라거나 그렇게는 못 판다며 실랑이를 벌이다 적당한 선에서 흥정이 이뤄지는 것이 상례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