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피프로닐이 최대로 검출(0.0763ppm)된 ‘살충제 계란’을 매일 2.6개 먹는다고 해도 건강에 해를 미칠 정도의 독성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소비자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21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살충제가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 49곳이 7월1일 이후 생산한 계란 4천200만개 중 450만개만 압수·폐기됐고, 나머지 3천700만개는 이미 소비됐거나 여전히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적합 계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난각코드 역시 없거나 엉터리인 경우가 있고, 여러 농장의 계란이 유통과정에서 뒤섞였을 수도 있어 소비자들의 불안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날 ‘계란 안전 관리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판매되는 모든 계란은 식용란선별포장업(GP)을 통해 수집·판매되도록 의무화하고, 안전검사 거점으로 활용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아울러 현재 계란의 난각에는 농장명만 표시할 경우 생산지역을 알 수 없고, 생산자명 표시방법이 들쑥날쑥하다는 지적에 따라 현행 4가지 표시방법을 고유번호 1가지로 표시하도록 개선한다. 우선 식약처는 동물용 약품을 철저히 관리해 농가의 오·남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농장 HACCP 평가항목에 살충제 관련 항목을 추가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축산물 잔류허용기준을 인체에 안전한 수준으로 엄격하게 설정하고, 동물용 약품 사용 관련 잔류물질검사도 강화해 지자체와 합동으로 연 4회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의 대책과는 별도로 이시종 충북지사가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금류 농장 휴업봉사제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가금류 농장 휴업보상제는 겨울철에 가금류 사육을 중단하고 축사를 비우는 농가에 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지난 겨울 AI(조류인플루엔자) 홍역을 치른 도가 정부에 제안했다.

이 지사는 “일정 기간 휴업하면서 축사 청소나 소독을 철저히 하고, 복지시설 등을 갖추면 살충제를 쓰지 않아도 해충 예방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이 지사는 그동안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한 대안으로 휴업보상제 도입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

이 지사는 “휴업보상제를 활용해 동물복지 농장을 늘려가는 방안과 살충제 계란 논란 예방을 연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충북도의회도 지난 7월 휴업보상제 도입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충북도 가축전염병 예방 및 감염축 관리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반면 정부는 도의 제안을 수용해 도입을 검토 중이지만 예산 문제로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류인플루엔자 뿐만 아니라 살충제 계란까지 문제가 된 만큼 이번 기회에 휴업보상제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