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만하면 터져 나오는 먹거리 안전 문제로 국민들이 불안하다.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 중에도 햄버거, 족발, 편육 등에서의 식중독균 검출, 소주 이물질 검출 등의 소식이 이어져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연일 확산됐다.

특히 이번 계란 조사에서는 ‘친환경’으로 포장됐던 제품에서 대거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식품안전관리 허점이 고스란히 노출됐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전국 모든 산란계 농장(친환경 683곳, 일반 556곳)을 조사한 결과 약 4%에 해당하는 49곳에서 살충제 계란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살충제 성분별로 보면 닭에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이 검출된 농가가 8곳, ‘플루페녹수론’이 2곳, ‘에톡사졸’이 1곳, ‘피리다벤’ 1곳 등이다. 나머지 17개 농가는 ‘비펜트린’이 허용기준치 이상으로 나왔다.

더욱 기막힌 것은 부적합 농가 49곳 중 친환경 인증 농가가 31곳에 달했고, 부적합 판정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살충제가 조금이라도 검출돼 친환경 인증 기준에 미달한 농가는 37곳에 달했다는 점이다. 친환경농가가 일반농가보다 살충제를 더 많이 썼다니 소비자의 배신감을 어찌할 건가. 정부는 계란 전체 공급물량의 약 95.7%는 안전하다며 적합 판정을 받은 산란계 농장의 계란 출하를 허용했지만 국민의 불안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대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그중에도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은 매년 겨울이면 반복되다시피 발생해 농가와 소비자를 괴롭힌다.

지난 말과 올해 초에 발생한 AI의 경우는 역대 최악의 수준으로 발생 2개월 만에 전체 사육 가금류의 20% 가까이 되는 3천33여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정부가 추산한 살처분 보상금만 2천300억원을 웃돌고, 농가 생계안정 자금 등 직접적인 비용을 비롯해 가공업·음식업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간접적인 기회손실 비용까지 모두 합치면 피해규모가 1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올해 구제역으로도 1천400여마리의 소가 살처분돼 보상금이 8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축산물의 안전은 가축들의 사육 환경을 개선하고 방역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담보된다. 정부는 살충제 계란 사태를 계기로 축산물 이력제를 닭고기와 계란에도 적용하고 동물 의약외품 유통판매 기록관리 의무화, 동물복지농장 확대, 친환경 인증제 개선 등을 발표했다.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축산물 안전성 문제는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다. 정부의 확고한 실행의지가 요구된다.

국민들은 믿고 먹을 만한 게 없다고 한탄하고 있다. 최근의 햄버거병과 용가리과자 파동 등도 실효성 있는 위생 및 식품안전 조사가 결여된 때문이다. 먹거리 관련 인증, 위생검사 등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