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균형발전 일환으로 설립된 청주국제공항이 우여곡절 끝에 개항 20주년을 맞았지만 정작 기념식 일에는 마음 놓고 축하할 수 없는 자리였다. 20주년을 맞은 기념식에서 이시종 충북지사는 정부와 한국공항공사에 축사 대신 청주공항을 살리기 위한 특별 대책을 요구했다. 그동안 쌓여왔던 정부에 대한 불만과 우려를 적극적으로 표현한 셈이다.

실제 청주공항은 지난 20년간 숱한 어려움에 직면하곤 했다. 2009년 정부의 청주공항 운영권 민간 매각 발표 이후 정부에서 아무런 지원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여기에 청주공항을 MRO(항공정비)단지로 지정만 해놓고 모든 개발 책임을 지자체로 떠넘겨 이를 감당할 수 없는 지자체로서는 MRO포기선언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MRO사업은 정부가 주도하고 그로인한 혜택이 지방정부가 누릴 수 있는 구조여야 했다. 그것이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건립된 청주공항의 존립 의미이기도 하다.

엎친데 덮진 격으로 한반도 사드배치로 인해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보복으로 중국여행객이 급감, 전국 공항 중 청주공항이 가장 큰 직격탄을 맞았다. 정부가 청주에 국제공항을 신설해놓고 그에 상응하는 활성화 방안은 뒷전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인천·김포공항에 집중된 일본·동남아·대만노선 중 일부를 청주공항으로 돌려줘야 한다. 정부가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설립한 청주국제공항에 대해 개설만 해놓고 노선을 고루 분배해주지 않는다면 당초 지방공항 설립 취지와도 맞지 않는 일이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청주공항의 국제노선이 전멸할 수 있다.

청주국제공항은 인천공항 등 대형 국제공항과 경쟁력 면에서 뒤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공항공사가 정책적으로 나서 주지 않는다면 결국 엄청난 혈세만 낭비하고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다. 자칫 청주공항의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청주공항이 개항 초 연간 이용객은 37만명에 불과해 만성 적자에 허덕였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난해 연간 이용객 270만명이 넘을 정도로 성장했다. 2016년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해마다 이용객이 늘고 있는 중이었다. 사드배치만 아니었다면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익을 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개항 후 첫 5억원 규모의 흑자를 냈다. 그동안의 만성 적자를 감안하면 소극적인 흑자다. 하루 빨리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20년간 정부와 공항공사의 미온적인 자세가 결국 적자 폭을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올해 개항 20주년을 맞은 가운데 청주공항이 향후 명실상부한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충북도와 청주시 등 지자체는 물론이고 청주공항, 공항공사,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서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노선분배, 국제노선 증설 등 현실적인 대안을 취하면서 좀 더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