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대도시와 신생도시의 인구 팽창에 비례해 농촌 소도시는 해가 갈수록 인구가 고갈되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인구통계에 따르면 충청권 인구는 2006년 492만1천명에서 2016년 538만1천명으로 54만명(9.4%)가 증가했다. 2012년 출범한 세종시는 충청권 인구 증가세를 이끌어 4년 전 10만3천명에서 2016년 22만6천명으로 119%나 늘었다.

10년 사이에 충북은 5.7% 증가한 157만7천명, 충남은 5.3% 증가한 207만3천명, 대전은 3.1% 증가한 150만5천명이었다. 충북에서는 증평군(20.5%), 진천군(13.9%), 음성군(11.3%), 청주시(9.5%) 순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기업체가 몰리는 지역이거나 미래 투자 대비 인센티브가 큰 도시가 인구 유입 효과를 누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농촌 소도시 인구는 매년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5년 인구총조사를 보면 5년 전에 비해 전국 68개 시·군의 농촌(읍·면 지역)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농림어업조사에서 농가인구는 249만6천여명이었다. 2011년 농가인구 300만명이 선이 무너진 후 5년만에 250만명 선이 붕괴된 것이다.

농촌지역 지자체들의 인구 늘리기는 그야말로 전쟁이다. 주민의 유출을 막기 위해 지자체는 신생아 양육비 지원, 농촌 총각 혼인사업 등 다양한 이벤트성 시책을 펼친다. 요즘은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각종 당근을 제시하며 도시민을 유혹한다. 이렇듯 농촌 지자체가 온갖 고육책을 내놓은 것은 줄어드는 인구감소 현상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다. 더불어 인구감소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는 절박한 현실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인구감소는 세수감소에 따른 재정악화는 물론이고 중앙정부에서 지원되는 지방교부세 등에서 불이익을 받는다. 행정조직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해 기관 축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인구가 많을수록 지자체 살림살이가 넉넉해지고 행정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인구 늘리기는 자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특히나 임기웅변식의 인구 증가 정책으로는 장기적으로 떠나는 주민을 잡을 수 없다. 근본적으로 풍요롭고 살기 좋은 농촌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농촌 소도시에 살아도 충분히 안정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고 자녀교육이나 문화혜택에서 대도시보다 뒤지지 않는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 현행 인구만을 기준으로 하는 자치단체 행정기구와 정원 등에 관한 규정도 지방 환경에 맞게 손 볼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