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명대 경영학과

국내 경제의 저성장 기류는 갈수록 뚜렷해지고 국제 경제는 자국 이기주의와 자국 이익 우선주의 열풍이 거센 가운데 소위 4차 산업혁명 물결이 새로운 경제질서를 예고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ICT를 비롯한 기존 기술 패러다임이 융합하면서 나타날 변화여서 예측이 어렵기는 하지만 결국 모든 산업을 완전히 뒤바꿀 태세이다.

최근 만난 한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어떻게 준비를 하고 어느 것을 우선시 해야 할 지 걱정이라 했다. 우리 삶과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4차 산업혁명의 명확한 이해와 이에 대한 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은 산업구조의 고도화라고 할 수 있다. 기업경영과 산업구조 경쟁력은 내부적인 효율극대화와 외부 고객만족의 균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다면 기업으니 ICT를 활용하여 내부 효율을 극대화하고 외부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각종 서비스와 재화를 고객의 요구에 훨씬 잘 맞춰주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서 생산효율 극대화를 높여 낮은 비용구조를 달성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4차 혁명의 원천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3차원(3D) 프린팅 같은 신기술이며 창의성 및 유연성이 강조되는 패러다임 등이다. 이런 신기술들이 기존 산업이나 기업경영에 적용되면서 산업 고도화의 속도 및 경쟁은 가속화될 것이다.

조직을 생물학적인 생태계 관점에서 보면, 과거보다 새로운 산업 생태계가 훨씬 빈번하게 탄생할 것이다. 다양한 사업모델과 다양한 산업 생태계들은 영속적인 생존을 위해 지금보다 훨씬 격한 경쟁국면을 맞이할 것이다. 많은 기업들이 신기술을 기반으로 자사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은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이 해당 비즈니스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이해는 기본이며 산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내부에서 열린사고를 장려하고 실패를 용인하고 실패를 통해 제2의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조직문화를 활성화해야 한다.

실제, 산업 구조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수직적인 조직문화는 3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창의성과 포용성에 기반한 혁신역량은 기존의 수직문화에서는 도출하기 어렵다. 이제 최고 경영자는 조직 구성원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열린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비하느냐가 조직의 운명을 가를 것이다. 소비자 요구를 정확히 이해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기획력을 갖춘 기업들은 지속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때문에 시장의 리더가 될 것이며 끊임없이 가치사슬 구조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것이다.

4차 산업이 중요하다고 말하면 제대로 준비를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4차 산업혁명기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능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조직문화를 바꿔야 한다. 조직구성원의 열정과 위험을 무릅쓰는 도전정신을 장려하는 문화가 뿌리 내릴 때 조직 구성원은 움직일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가보지 않은 길이다. 그렇다고 두려움으로 바라볼 수만은 없다. 냉철한 자세로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조직문화를 끊임없이 점검해 봐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