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최하위…평균보다 40분 부족
2011년 이후 불면증 환자 40.19% 증가
ASMR 등 수면유도 콘텐츠·물품 인기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불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일상의 스트레스 등이 현대인들을 잠 못들게 한다.

수면은 몸의 생체리듬을 유지하고 신체의 회복 기능을 높여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같은 점에서 수면장애의 위험은 상당하다. 수면에 장애를 겪으면 생체리듬이 깨지고 면역력과 회복력에도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뇌의 충동 조절 기능에 문제를 일으켜 우울증과 자살 위험 등을 불러오기도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41분으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OECD 평균인 8시간 22분보다 40분이나 짧다.

불면증에 시달리는 성인 인구는 전체의 12%인 4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심각한 불면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도 급증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1~2015년) 불면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193만명을 넘어섰다. 2011년에 약 32만5천명에서 2015년에 45만6천명으로 40.19% 늘었다.

수면제 ‘졸피뎀’, 수면마취제 ‘프로포폴’ 중독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유튜브’에서 ASMR 등 수면유도 콘텐츠들이 인기를 얻는 것은 ‘불면 사회’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ASMR 동영상을 올리는 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 ‘데이나’(DANA)의 구독자는 37만명, ‘미니유’의 구독자는 30만명에 이른다. 이들이 올린 특정 영상은 360만회 이상 재생됐다. 누리꾼들은 영상에 “몇 달 전부터 잘 때마다 듣는데 언제나 졸리게 된다”, “듣다 잠이 들어 마지막까지 들은 적이 없다”는 등 댓글을 달았다.

ASMR은 연필로 종이에 글자를 쓰는 ‘사각사각’ 소리, 라텍스 비닐장갑이 내는 ‘스윽스윽’소리, 빗방울이 창문을 두드리는 ‘톡톡’ 소리 등 뇌를 자극해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소리로, 자율(Autonomous) 감각(sensory) 쾌락(meridian) 반응(response)의 줄임말이다.

이런 소리는 듣는 이에게 팅글(기분좋게 소름돋는 느낌)을 느끼게 하며 수면을 유도한다. 단순한 사물 소리 외에 머리카락을 빗어주거나 귀를 파주는 등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롤플레잉, 속삭임, 먹는 소리를 내는 ‘이팅사운드’ 등이 ASMR로 활용된다.

ASMR은 과학적 근거가 입증되지 않았지만 수많은 인구가 ASRM에 의존해 잠을 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면안대·베게·바디필로우, 수면상태 측정 기기, 아로마향초 등 숙면아이템들도 인기를 끌고 있다. ‘어떻게 해서든’ 잠을 자야겠다는 현대인들의 의지가 수면시장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