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이 끝난 지 5년이 다 돼간다. 이명박 정부가 수해예방, 수자원 확보, 수질개선, 수변복합 공간 조성, 지역 발전 등의 목적을 내세우며 무려 22조원이나 투입한 사업이다.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에 16개 보를 설치하고 강 유역에 댐을 만드는가 하면, 강 상·하류를 연결하는 길이 1천728㎞의 자전거길을 조성했다. 친환경 대하천 정비라는 이 사업은 그러나 당초의 취지와는 정 반대로 갔다. 지금 4대강은 수질 및 수생태가 꾸준히 악화돼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된 처지다.

충남도가 지난 16일 정부에 4대강 보 갑문 상시 개방과 방치된 친수시설 재자연화를 제안하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이날 ‘충남의 제안'이라는 브리핑을 통해 “4대강 사업이 완료된 후 하천이 아닌 호소(湖沼)와 같이 변했고 물고기 폐사사건, 녹조현상도 매년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하천 생태계 복원을 위해 보 갑문을 상시 개방해 유속을 늘리고, 이용률이 낮은 주변 레제시설은 이전 상태로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의 이번 제안은 2011년부터 실시한 ‘금강 수환경 모니터링 사업’ 결과를 토대로 했다. 모니터링에 따르면 금강 본류는 4대강 사업 이후 수질 오염도를 나타내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모두 악화됐다.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주변의 연간 평균 유속은 초속 0.2m를 넘지 않아 호소화가 진행됐다. 강바닥엔 퇴적물이 급격히 쌓이고 호수에 사는 큰빗이끼벌레, 실지렁이, 붉은깔다구 등이 급증했다.

이 같은 현상은 금강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4대강 사업 후 부영화된 호소 또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은 낙동강, 영산강 등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나타나 ‘녹조라떼’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녹조는 물의 용존산소량을 줄여 물고기 떼죽음 등 수생생물들을 위협한다. 녹조 피해가 가장 심각한 낙동강 유역의 환경단체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보 개방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는 4대강 보에 담겨 있는 물을 가뭄에 대비한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다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산중턱에 농업용댐을 만들고 4대강 물을 펌핑해 공급할 도수로를 건설하는 내용이다.

전문가들은 낙동강의 경우 서식어류에서 사람 간에 치명적인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며 물의 안전성에 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이 들어 있는 물로 농사를 지으면 작물에 전이돼 토양 오염과 함께 심각한 인체피해가 올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결국 농업용수로도 부적합하다는 얘기다.

4대강 수질오염 문제는 이제 더 이상 시간을 두고 지켜볼 일이 아니다. 구태의연한 명분은 거두고 민·관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대책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