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충북수필문학회장

원수봉 정상에서 내려다보니 남서쪽 아래로 평평한 산봉우리가 보였다. 풀과 나무에 덮여있지만 작은 마을 하나가 들어앉을 만한 산정에 있는 펀더기이다. 저기가 산성지인 성재산이구나 하고 직감할 수 있었다.

눈을 가늘게 뜨고 내려다보았다. 상상의 역사 속으로 들어간다. 여기저기 기와지붕이 보인다. 초가집 사이로 골목이 있고, 골목을 부지런히 드나드는 사람들도 훈련하는 군사들도 보인다. 모든 것은 2.5m나 되는 토담 안에 있어 아늑하다. 성채에 청, 홍, 황, 백, 흑 오색 깃발이 나부낀다.

1500년만 거슬러 올라가면 저기는 백제의 군사들이 주둔했던 요새였을 것이다. 군사들이 가끔 보루 같이 높다란 원수봉에 교대하러 오르내렸을 것이다.

성재를 통하여 원수봉에서 전월산으로 이어지는 통신은 끊이지 않았을 것이다. 이곳이 금강나루에서 연기지역으로 통하는 지름길이라면 성재는 옛날에는 교통의 요지였을 것이다.

서둘러 내려와 성재산으로 향했다. 이정표에 ‘숲속의 쉼터'라고 되어 있었다. 백제, 고려의 군사가 지금은 숲속에서 쉬고 있다는 말인가. 아니면 역사가 쉬고 있다는 말인가.

가서 보니 성터가 확연하지는 않았으나 토성의 윤곽은 뚜렷하다. 토석혼축이라는데 토축한 흔적만 보이고 성석은 찾아볼 길 없다. ‘쉼터’를 평평하게 고르느라 나무를 베고 흙을 메워 우물터도 건물지도 분간할 수 없었다. 성의 내벽은 보이지도 않는다. 외벽만은 뚜렷하게 남아 있지만 잡목과 잡초가 우거져 웬만한 사람은 성이 있던 자리라고 짐작조차 할 수 없었다. 그야말로 완전한 훼손이다. 뚜렷하게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서천 건지산토성이 고맙다.

가시덤불을 헤치며 한 바퀴 돌았다. 흔적도 없어진 수구, 연지, 늪지, 문지에 정자를 짓고 운동기구를 설치했다. 문헌에 1천200m라고 하는 한 바퀴를 다 돌았다.

성의 모습은 누에고치 모양이랄까, 조롱박 모양이랄까, 가운데는 잘록하고 양쪽이 둥그렇게 돌아가는 타원형 테메식 산성이었다. 기록에 높이 2.5m라지만 더 높은 곳도 있고 낮은 곳도 있었다. 너비 3.5m라는 건 흔적도 없다.

아주머니 한 분이 ‘쉼터'에서 쉬고 있기에 이곳이 성인 줄 아느냐고 물어 보았다. 모른다고 했다. 성은 무슨 성이냐는 듯이 오히려 나를 이상한 눈으로 쳐다본다. 문화 유적이라는 안내판이라도 만들어 놓았으면 좋겠다. 선답자의 답사기에 보면 성곽의 모양이 뚜렷했고 연지와 우물지가 있어 실제 물이 났다고 했다. 소중한 문화유산과 역사가 땅에 묻혀 버렸다.

내려오는 길에 성의 아랫부분에 쌓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돌무더기를 발견했다. 흙속에 묻혀 있으나 다듬어 쓴 흔적으로 보아 성석임이 틀림없다. 나뭇잎을 헤치자 돌이 무더기로 나왔다. 흙 바로 밑에서 돌로 쌓은 성의 기초 부분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아쉬움만 남기고 돌아서야 했다.

원수봉 산성은 운주산성, 연기 향교 뒷산의 당산성에서 나성을 거쳐 공산성 사비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연결 요새이다. 이렇게 중요한 요새가 땅속에 묻혀버린 것이다. 대대로 뼈 묻으며 살아온 고향을 빼앗기고 떠난 원주민은 얼마나 원통할까? 이주해온 시민들에게 역사와 문화유적을 알리면 더 빨리 고장에 대한 애착이 생길 것이다. 고장의 유적지를 알리려는 작은 성의라도 보였으면 좋겠다.

세종시는 아직도 공사가 한창이다. 개발과 건설이라는 미명으로 오늘도 땅에 묻히고 있을 민족의 역사를 생각하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