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기획단 18개월만에 해체

충북도가 과학기술 정책을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에 접목하려던 조직을 축소했다.

24일 충북도는 민선 6기 출범 직후 신설한 미래전략기획단을 출범 1년6개월 만에 해체했다.

대신 이들 조직을 경제통상국 경제정책과 미래전략팀으로 축소했다.

팀장에는 전 미래전략기획단 강전권 1팀장이 임명됐다.

단장인 곽영학 서기관은 충북자치연수원 도민연수과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오문석 2팀장은 경제통상국 일자리기업과로 이동했다.

당초 3팀 체제로 운영되던 미래전략기획단은 지난 1월 2팀 체제로 축소됐다가 이번 인사를 계기로 완전 해체됐다.

미래전략기획단이 신설된 것은 2014년 11월이다. 제6회 지방선거 때 만년 3%대인 충북의 전국 대비 경제 규모를 4%대에 올려 놓겠다고 공약한 이시종 지사의 의지가 반영된 조직이다.

이 부서는 도정 각 분야의 100년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전략·시책 발굴, 4% 경제 실현을 위한 로드맵 추진, 도민소득 증대시책 발굴 등의 업무를 맡았다.

그러나 이 부서는 대형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과 응용 정책을 만들어 내는 것 보다는 기존의 부서와 같이 실적 사업에 치중하면서 이 지사가 의도했던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그동안 과학기술 정책을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책으로 실현시키지 못했다.

여기에 배치된 직원들도 잠시 머물렀다 가는 조직으로 인식해 충북도의 관료주의의 대표적 조직 변질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업무 성과에 대해 크게 나무라지 않은 성격의 부서이기 때문이다. 몇몇 공무원으로 단기에 큰 성과를 낼 수 없고, 꾸준히 업무를 넘겨받아 장기적인 과제를 실천하는 연구소와도 같은 안목이 요구되는 부서다.

그러나 충북도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창조적 파괴보다는 기존 업무 형태를 답습하면서 도청내 또 다른 옥상옥으로 변했다. 충북도의 미래에 대한 안목을 고위직들의 안목을 아래에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동안 미래전략기획단은 기업 육성을 통한 바이오·뷰티·헬스 창조생태계 조성, 웨어러블 농업로봇 산업화 및 인력 양성, 친환경 농산물 단골 직거래 플랫폼 구축, 연구개발 특구 지정 등의 프로젝트를 구상했지만 실행 여부는 미지수다.

결국 미래전략기획단은 비전 구상과 실행 능력이 맞물리지 않은 부서라는 비판을 받아오다 신설 18개월 만에 조직에서 사라지게 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