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용 충북지방중소기업청비즈니스지원단 상담위원

최근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제조기업의 지속적 성장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제조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국내외적으로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 국내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하고, 그 후속으로 ‘스마트생산방식 확산’ 등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해(2015년 3월) 제조업 전반에 대한 생산현장 스마트화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1만개의 스마트공장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의 인공지능연구소(DFKI)에서는 스마트공장을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공장안의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지능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공장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기술은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사이버 물리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제조기업이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노동원가 및 원자재 비용 상승 등으로 성장한계에 봉착한 상황에서 제조업 혁신의 관점으로 공장 내외의 요소를 사물인터넷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로봇, 소프트웨어 등을 접목해 투입, 산출, 공급의 최적화의 달성을 목표로 하면서 부터이다.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숙련공 부족, 고령화뿐만 아니라 고객수요의 급격한 변화로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져 기업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품질의 수준과 생산성 효율을 확보해야 생존 가능한 시대에 직면한 상황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의 확대를 위해서 스마트공장 인증 제도를 계획하고 있으며 스마트 공장을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진단의 도구, 스마트공장의 표준모델 제시, 스마트공장 확산 기반조성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6년 2월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스마트공장 정책추진 점검 및 발전방안으로 논의하기 위해 경기도의 모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을 찾은 자리에서 스마트공장의 정책으로 △‘대표스마트공장’ 선정 및 컨설팅 연구개발(R&D)의 집중지원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데모 스마트 공장(Demo Smart-Factory)' 구축 △클라우드 방식의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서비스의 개시등에 대한  정책목표를 전달하고 스마트공장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에서는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을 설립해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보급 확산, 연구개발, 표준인증, 기반구축을 축으로 각 지역에 있는 창조혁신센터와 연계해 지원하고 있어 이를 통해 스마트공장화 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더불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지원하는 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을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중소기업들도 스마트공장 추진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으로의 발전이 필요하며,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공장의 국제 표준화 추진, IT보안과 데이터 거버넌스, 법적·정책적문제, 교육 및 인재육성 그리고 가치사슬 전체의 참가등의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