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맞춤형 교육’ 협력
졸업하자마자 업무에 투입

졸업 후 100% 취업이 보장되는 대학 내 계약학과가 늘어난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수요)와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재(공급)가 일치하지 않는 ‘미스매치’로 청년실업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27일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 계약학과를 운영하기 위한 시설, 지역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계약학과는 기업이 채용을 조건으로 대학과 계약을 맺어 특별한 학위과정을 운영토록 하는 제도다.

졸업 후 바로 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해 내보내는 것이 계약학과의 핵심이다. 기업이 신입직원을 뽑더라도 재교육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어서다.

경영자총연합회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을 재교육하는데 평균 18.3개월이 걸리고 1인당 재교육비용은 6천만원이 들어갔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갈수록 신규 채용보다 경력직을 선호하고 있다. 청년 취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2009년만 해도 전체 직원의 82.7%를 신입직원으로 채우고 나머지 17.3%를 경력직으로 뽑았지만 올해 신입직원 채용 비중은 72.9%로 줄었다. 정부는 계약학과 확산을 위해 기업이 일정기간 이상 임대한 건물에서도 계약학과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기업체와 대학이 동일권역(광역시·도 또는 100㎞ 이내)에 있지 않더라도 계약학과 설치를 허용했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와 현장실습이 확대되면 청년층은 더 일찍 취업할 수 있고, 기업은 원하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어 ‘윈윈’이라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밖에 정부는 2017년까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전체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로 확대하기로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