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같은 반 급우를 괴롭히는 ‘왕따 동영상’이 제작된 경남 창원시 중학교 교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교육계에 충격을 줬다. 집단 따돌림 동영상이 유포된 뒤 상당히 괴로워했다는 가족과 학교 관계자의 말로 미뤄 교장은 모든 책임을 떠안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교장의 정확한 자살 동기는 경찰과 교육청의 조사로 밝혀지겠지만 평생 명예를 중시하고 교육에 헌신해 온 원로 교육자가 왜이런 극단적인 선택을 해야 했는지 참으로 애석하다.

왕따는 상대의 인격을 말살하는 가장 비열한 행동이다. 이런 왕따가 전국의 모든 초·중·고 학생들 사이에서 일종의 놀이처럼 죄의식 없이 집단적으로 이뤄질 정도로 만연해 있다.

특히 왕따를 당한 뒤 교사나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별 도움을 받지 못 한다. 내 자식은 괜찮겠지, 우리 학교에는 왕따 학생이 없겠지 하는 부모와 교사의 안이한 자세가 왕따를 확산시키고 있다.

왕따를 목격한 뒤에도 피해를 볼 것 같아 외면하는 학생 간 분위기도 이에 일조를 한다. 사회악의 씨앗이 어린 시절 뿌려진다는 사실에 가정과 학교는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되며 책임 또한 가정·학교 어느 누구를 탓할 일도 아니다. 가정·학교 둘 다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

우선 가정에서는 학교생활의 바탕이 되는 가정교육을 해야 한다. 많은 학생들에게 지식 뿐만 아니라 마음의 양식까지 전해줘야 하는 선생님들이 학생 개개인의 행동과 생활습관 등을 모두 파악하고 통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자녀들이 항상 타인을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가정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또 학교는 인사상 불이익을 우려해 왕따를 방관하고 덮어두려는 교사의 비겁함이 없어져야 한다.

교사들이 악을 보고도 회피한다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겠는가. 공부는 학원에 빼앗기고 이제 아이들조차 보호할 힘이 없다면 학교는 존재할 이유가 없다.

‘한번 왕따면 영원한 왕따’라고 한다. 앞으로는 ‘한번 친구는 영원한 친구’라는 말이 급우 사이에 울려 퍼졌으면 한다.

박미영 / 25·청주시 분평동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