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교육정책이 너무 자주 바뀌어 학생과 학부모, 일선 학교가 혼란을 겪고 있는 현실이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자고로 교육정책은 백년을 내다보고 설계해야 마땅하지만 정부나 각 자치단체 교육청의 정책이 그렇지 못하다.

충북도교육청이 김병우 교육감의 공약이행에 따라 혁신학교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교육청은 각 지역교육청별로 학부모 및 교육 주체를 상대로 혁신학교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홍보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혁신학교란 학습위주의 수업방식에서 탈피해 인성과 창의성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운영과 교육과정에 있어 학교와 교사에게 자율권을 부여하게 되며 학급당 인원은 25명 이내 소규모로 운영하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을 좋은 대학진학에 두지 않고 행복한 생활 속에서 창의적인 인재양성에 둔다는 점에서 상당히 미래지향적인 학교다.

특히 교사에게 학습프로그램의 자율권을 부여해 교사가 갖고 있는 고유한 자질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은 교육의 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며 소규모 교실 운영은 학생과 교사, 학생 상호간의 소통이 활발할 수 있는 등 민주적인 교육방법 임에는 두말 할 나위 없다. 무엇보다 혁신학교는 학교마다 행정전담사를 두어 교사들의 행정업무가 상당히 줄어들게 되며 이는 교사가 잡무에서 벗어나 수업연구 개발 및 학생들에게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등 교사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학생들에게는 시험과 상장 등을 없애 학교가 경쟁사회가 아닌 서로 협력하는 공동체라는 인식을 심어 준다.

이러한 혁신학교의 장점은 결국 장기적으로 모든 학교가 추구해야할 이상적인 교육의 장인 것은 맞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일부 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제도로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정부차원에서 교육에 과감한 예산지원 등을 통해 교육의 체질 자체를 변화시키는 개혁이 필요하다.

혁신학교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첫 단추인 어린이집부터 혁신학교가 돼야 하며 그 어린이들이 성장하면서 중·고교에 이르기까지 혁신학교가 지양하는 운영방법을 자연스럽게 흡수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대한민국 교육 전체가 혁신 학교화 해야 하는 일이며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과감한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창의적인 인재는 결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록 선택적인 혁신학교 지정이라 할지라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장치를 먼저 마련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