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억압의 상징인가, 아랍 문화의 전통인가. 프랑스 정부 자문위원회가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명백한 종교적 상징물을 착용하는 것은 헌법에 명시된 정교분리 원칙에 어긋난다는 결정을 하고 이슬람 여학생들이 학교에서 머리스카프(히잡)를 쓰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을 제안함에 따라 이슬람교도들과의 첨예한 갈등이 예상된다.

비이슬람교도인 프랑스인들은 히잡이 프랑스 가치와 전통에 대한 도전인 동시에 종교적 극단주의와 여성인권 탄압의 상징이라며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500만명에 달하는 무슬림 이민자들은 입으로만 자유와 다원주의를 강조하는 프랑스의 이중적 잣대를 비난하면서 히잡이 여성인권 탄압이란 프랑스인들의 주장이 터무니없는 것이며 오히려 여성을 성적 대상물로 취급하지 않는 존중의 의미라고 반박하고 있다.

무슬림, 스카프 강요로 느끼지 않아

인종차별금지단체들간에서도 환영과 반대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려 관련법 제정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안에서도 찬반이 갈리고 있는 형편이다. 청문회에서 어떠한 종교적 상징물로도 겉치장하는 것을 금하도록 하는 법을 지지한다고 말한 프랑수아 피용 사회장관과는 달리 뤽 페리 교육장관은 이슬람식 머리스카프를 착용한 학생들과 관련해 소송으로 이어지는 연 10여건에 불과한 사건에 대처하겠다고 특별법을 만드는 것은 다소 극단적인 일이라고 주장하며 사물을 부정적으로 보고 모든 종교적 상징물을 학교에서 금지하는 법을 만든다면 어려움을 가중시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슬림 여성의 머리스카프는 무슬림 세계에서 종교적 경건성과 문화적 주체성의 상징으로 고수되고 있으나 여성의 인권 문제와 맞물려 끊임없이 정치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재미있는 것은 비이슬람문화권이 무슬림여성의 베일 착용 관습에 관해 ‘이슬람의 여성 억압’의 상징이라며 흥분하고 있음에 대해 무슬림 여성들의 대답이 절대 ‘아니다’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볼티모어 BWI 공항의 보안요원들이 검색 중 사람들 앞에서 교리에 어긋나게 자신의 머리 스카프를 벗으라고 강요한 데 대해 “머리에서 발끝까지 베일로 감싼 카톨릭 수녀가 있었지만 그녀보고는 벗으라는 소리를 안하던데요”라며 사과를 요구했던 이슬람 신자인 십대 소녀 ‘에나스 사수어’의 깜찍하게 당찬 항변은 무슬림여성들의 히잡에 대한 생각을 대변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이슬람 여성들의 머리스카프인 히잡을 포함한 베일은 이슬람이 태동하기 전부터 있던 아랍 전통복식의 하나로, 코란에서 ‘여성은 밖으로 드러난 것 외에 유혹하는 어떤 것도 보이지 말라’고 명시되면서 무슬림여성 옷차림의 기본으로 자리잡았다. 강제적인 여성 억압으로 측은해 하는 비이슬람교도들의 생각과 달리 오랜 관습에 따라 자연스럽게 베일을 써온 이슬람 여성들은 전혀 불편을 느끼지 않을 뿐 더러 이를 억압의 상징으로 보는 시각에 오히려 놀란다고 한다.

베일의 전통 유지될지 관심사

베일의 종류도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양해서 이번 사건의 주역이 된 히잡은 얼굴을 내놓고 머리에서 가슴 부위까지 늘어뜨리는 형태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으며 본래 흰색 검정이 기본이었으나 갈수록 색과 무늬가 화려해지는 추세다.

그 외에도 ‘히잡’에 코 아래 얼굴 가리개가 덧붙여진 ‘니캅’, 넓고 검은 천을 머리부터 둘러쓰는 ‘차도르’, 눈 부분을 망사로 처리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덮어쓰도록 한 가장 보수적인 복장인 ‘부르카’ 등이 있다.

베일 착용이 개인의 판단에 맡겨져 반 수 정도의 여성이 베일을 쓰지 않았던 이집트에서는 최근 대학가를 중심으로 급속한 서구화에 대한 견제와 반성의 의미의 베일 쓰기 바람이 번지고 있다고 한다.

여성이 신체 노출로 인한 성적 도구화 되는 것을 막는 것과 동시에 외양이 아닌 내면을 중시함으로써 건강한 남녀 관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베일의 전통이 과연 유럽에서 문명충돌을 불러 일으킬만한 사건으로 비약될지 이번 사건의 귀추가 흥미롭다.

류경희 / 논설위원·수필가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