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정부가 들어선지 얼마 되지 않아 사회의 전반적인 개혁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작은 조직에서 중간관리자가 바뀌기만 하여도 분위기가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하물며 한 국가 수장의 새로운 등장은 사회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더구나 여소야대의 상황에서 그리고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서민적 개혁 사고를 바탕으로 일부지역의 시민들의 헌신적인 지지와 참여로 정권을 창출한 대통령의 입장으로는 시민참여의 중요성과 개혁적 의미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아마도 평소의 신념에서 출발한 이런 의미들이 현재의 상황을 만들어 오는 과정에서 이제는 벗어날 수 없는 무거운 의무로 변화된 듯한 모습이다.
따라서 이런 맥락 속에 진행되고 있는 일련의 통치술은 기존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 때로는 충격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검찰의 파격적 인사와 대화과정, 학력과 연령 및 서열의 파괴, 일반 시민들에 의한 각료의 추천, 그리고 시민운동가들의 과감한 발탁 등 이전의 정권들에선 경험하지 못했던 일들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우리 사회의 주류로 시민운동가들의 대대적인 진출이다. 정부의 중요한 보직은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이들의 약진은 괄목할 만한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 강압적인 정치구조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회 정의와 약자의 편에서 노력하고 때론 투쟁으로 쟁취한 현재의 환경에 대한 당연한 보상이고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가깝게는 소외된 시민들의 작은 권익보호에서부터 크게는 정권의 비리와 사회의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정립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우리에게 가깝게 다가온 시민운동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하는 분명한 명제인 것만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시민운동이 때론 우리에게 너무 무겁게 다가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양한 목적과 명분으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때론 점점 세력화 되어 가는 시민단체들을 보면서 힘들게 시작한 초심의 상태를 그리워 하게된다.
특히 외국의 캠페인에 초점을 맞춘 것과는 달리 조직과 역량에 비해 거대한 사회적 이슈들을 투쟁적으로 전개하고 있어 다양한 의사가 존재하기 힘든 비협상적 구조와 때론 독단적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으로 충북에만도 170개가 넘는 시민운동단체가 활동중이고, 지역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굵직한 현안 전반에 대해 어김없이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특히 충북의 경우 지역의 협소성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의 활동보다는 몇몇 운동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인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시민들이 타지역에 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이 근본적이겠지만 좀 더 지역의 건전한 대안세력으로의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어야만 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시대와 지역에 맞는 시민운동 패러다임을 재정립하고 유사단체의 통폐합을 통한 조직의 효율화 및 재정자립을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주민의식개선을 위한 장기적 캠페인의 전개, 그리고 일반인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욱이 외국 시민운동가들의 신조처럼 “시민들의 그림자”처럼 드러나지 않는 진정한 봉사자로써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런 사회의 정화인(淨化人)의 많은 출현을 기대해 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