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대학 입시철을 맞이하여 어느 때 보다도 지방대학의 현주소에 대해 많은 얘기들이 오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수능응시자 보다 오히려 대학의 입학정원이 많은 현실을 대부분의 지방대학들이 피부로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대학간 서바이벌게임을 벌이듯 신입생 유치경쟁에 심혈을 기울여온 지방대학들의 고심은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다.
입학정원의 미충원은 자연스럽게 대학의 물리적 규모 축소와 재정압박으로 이어져 교수신규채용은 물론 학생과 교직원의 복지·후생에 대한 투자도 엄두를 내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여 지난 10월에는 부산시 소재의 학교법인 성심학원이 2년제 성심외국어대학을 같은 재단하의 영산대학에 흡수·통합시킨다고 밝혀 앞으로 대학가에서 얼마나 많은 구조조정이 이루어질까를 걱정하고 있다. 이와같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은 대학이 당해도 싸다는 냉소적인 반응이 있는가 하면 대학이 무너지면 우리사회의 주춧돌이 흔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대학이 새로운 질서속에서 온전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대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도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한다는 여론도 있다.
비판적 시각에 의하면 지금까지 우리의 대학들은 경쟁논리를 바탕으로한 시장경제기능을 철저하게 무시한 채 손쉽게 정부지원금이나 받고 각종 특혜속에 안주하면서 땅 짚고 헤엄치는 장사를 해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은 시류에 야합하여 단순하게 시장논리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대학에 주어진 시대적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도 한 몫을 했다는 것이다.
대학교육에 대한 공급과잉의 원인은 80년대 초 졸업정원제 도입에 따른 대학정원증가로부터 시작되어 교육부가 96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한 대학설립 준칙제도로 이어진다. 특히, 대학설립 준칙제도에서 의미하는 자율성은 사실상 대학의 신설과 입학정원의 자율화이었다.
그 결과 96년 이후 불과 2년 사이에 전국에서 21개 대학이 신설되었는데 수도권에 대학을 설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지방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이와 같은 정책적 효과는 초기에 대학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국립대학에 비해 사실상 국고지원이 미미한 사립대학의 재원확보를 어느 정도 가능케하여 시설투자를 확충하는 순기능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지나친 대학교육에 대한 공급확대가 오늘날과 같은 현실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
더구나 졸업정원제 실시의 실패는 그대로 대학졸업생의 양산과 취업난으로 이어졌다. 수적으로 늘어난 지방대학들이 오늘의 현실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직시할 필요는 있지만 그 동안 정부의 교육정책에 충실해온 지방대학들이 고스란히 그 부담을 떠안게 해서도 안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여러 지역에 산재해 있는 지방대학이 담당해온 부분은 지대하다. 많은 지방대학이 단순한 장사가 아니라 사명감을 갖고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반세기 이상 심혈을 기울여 왔기 때문에 지방대학에서 배출한 인재들이 우리사회에 기여한 몫을 결코 과소평가 해서는 안될 것이다.
지금과 같은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지방대학은 지역사회에서 바라보는 따가운 시선의 의미를 되새기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과감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를 바탕으로 지방대학과 지역사회가 하나가 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대학이 직면한 현안은 지방대학의 문제만이 아니라 지역의 문제이기 때문에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오늘의 현실을 대학에만 떠넘기지 말고 지역사회 모두가 건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해결해 나아갈 때 지방대학이 거듭나서 지역에 봉사하는 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