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은 민주 정치체를 기본으로 하는 국가이면서도 ‘민주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지방자치제도의 실제 운용에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이는 양국의 역사적 정치제도의 유래와 무관하지 않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유학을 중요시하면서 중앙집권적 체제를 강화 시켜 온 반면 일본은 천황제 하에서도 실제로는 각 지방의 영주들이 실질적으로 지배해 오던 체제였다.
그리하여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 온 신숙주도 일본 지도를 그리면서 ‘해동제국도(海東諸國圖)’라 해 당시의 일본을 한 나라로 인식하기보다는 여러 지방국가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제국(諸國)이라 하지 않았나 사료된다.

한국은 유학의 강한 영향을 받은 탓인지 현재에도 서울 중심으로 인구가 몰리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면에서 지방과는 현격한 우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지방자치제도의 부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일부 면에서는 ‘중앙집중화’ 현상이 오히려 심화되는 성향조차 보이고 있다. 가히 행정수도 이전이란 공약이 나올 만한 충분조건이 갖추어져 있다고 본다.

지방자치제도가 뿌리내리고 경향(京鄕)이 골고루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은 물론 국민들의 의식 개혁도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교육, 문화면에서 지방발전을 꾀해야만 지방 대학도 살고 서울로만 몰리는 인구 집중 현상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방 언론의 활성화도 급선무다.

지방 언론이 살아야 뭐가 문제이고 어떠한 처방을 내려야 하는가 알려질게 아닌가.
특히 신문 구독율을 보아도 한국은 중앙지가 8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지방지 구독율은 10% 이하를 밑돌고 있다. 지나친 중앙지의 독식이다. 이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경향간 불균형이 심한 분야로서 어느 다른 민주국가에서도 보기 힘든 진기한 현상이다.

선진국중 지방지 구독율이 낮은 일본조차도 한국보다는 훨씬 높다. 필자가 유학했던 쿄토를 보아도 쿄토 신문 구독율이 50%를 넘는다. 쿄토 시민들이 중앙지도 보면서 자기 지방 신문도 많이 본다는 이야기이다.

왜냐하면 그 지역 사정은 그 지역 신문이 가장 구체적으로 잘 알고 보도 해 주기 때문이다.
지방지는 중앙지와 달리 그 지역주민들이 키워주지 않으면 생명력이 없어지는 특성이 있다.

반대로 많은 지역민이 본다면 특성화된 신문으로서 지방자치 제도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이다.
한국의 지방자치제도는 아직도 걸음마 단계라 할 수 있다. 오랜 중앙집권적 틀을 벗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경향이 골고루 발전해야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그 기틀은 바로 지방의 언론과 문화가 활성화 돼야 다른 경제, 문화, 교육 문제도 조금씩이나마 해결 될 기미를 보일 것이다.

이제는 지역주민들이 지혜를 모아 우리 지역 발전은 우리 스스로 해결할 때 훨씬 빠른 속도로 지방자치제도도 발전해 가면서 정착되어 갈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