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3월’은 충북보통교육계에 ‘조종(弔鐘)’이 울리고 ‘만가(挽歌)’가 귀청을 때린 듯한 ‘슬픈달’로 충북교육사에 기록될 것 같다.

현직 충북교육감이 형사피고인으로 항소심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1심유죄판결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이익 시선’을 의식하면서도 ‘교육감직’을 사퇴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지난 9일 김영세 교육감의 사퇴의사 표명은 항소심 재판부의 권고 등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것이지만 상급심의 유죄판결 확정전에 교육감 자신이 임기를 21개월 남긴 처지에서 ‘현직’을 버리고 재판을 받겠다는 자세를 스스로 취한 것은 ‘고뇌끝의 용단’이라고 보아 일정부분 평가를 해줄 수 있다 할 것이다.

우리는 김교육감의 공식사퇴의사표명이 항소심 재판부의 심리 등에서 의미있게 받아들여질 것을 기대하면서 차제에 충북보통교육계에 ‘애정어린 고언(苦言)’을 피력하려한다.

첫째 김영세 교육감의 ‘도중하차’는 충북보통교육계의 ‘공동비극’임을 알아야 한다.

오늘의 사태를 빚어온 직접적 책임은 교육감 자신에게 있다고 아니할 수 없으나 독직과 배신 대결 등으로 인해 살벌한 교육풍토를 조성하고 끝내는 충북 보통교육계의 수장(首長)이 형사피고인의 신분으로 교육계를 떠나지 않을 수 없도록 한 ‘광의의 책임’은 충북보통교육가족 모두에 있다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김교육감의 자퇴(自退)발표에 대해 교육계 일각에서 “승리했다”며 만세를 부르거나 ‘축배’를 드는 따위의 경거행태(輕擧行態)는 그간 보통교육계를 비판적으로 보고 있는 도민의 정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려깊은 자제(自制)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충북보통교육계 수뇌진은 물론 일선 교육자 및 교육행정종사자들의 몸가짐을 다시한번 가다듬어야겠다는 것이다.

사회에 모범을 보여야 할 교육계 종사자들이 ‘검은 물’이 든 일반사회 이상으로 금전적 유혹 등에 취약성을 드러낸다거나 ‘교육권력’을 향해 경쟁적으로 ‘줄서기’를 계속한다면 충북보통교육계의 ‘바로서기’는 백년하청(百年河淸)격이 될 수 밖에 없다.

그같은 교육계에서 자라나는 우리의 꿈나무들이 과연 무엇을 배울 수 있겠으며 학부형들이 어떻게 믿고 자녀들의 교육을 맡길 수 있겠는가는 깊이 혜량하여 충북보통교육계종사자들의 ‘거듭 새로태어나기’를 촉구해 마지 않는다.

셋째 대립과 갈등 등 비교육적 현상의 제거에 특단의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시급성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김교육감 취임 초기부터 특정 단체와 빚어지기 시작한 대립 및 갈등관계는 ‘진정한 교육발전’을 위한 투쟁과 대립이라기보다 ‘교육파워를 가진자’와 이에 ‘도전하는자’간의 ‘감정적 기싸움’차원으로 전락한 듯한 인상을 도민에게 보여줌으로써 충북보통교육계 전체가 욕을 먹고 일선 교육현장조차 분열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양상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무성한 것이다.

이같은 시각에 대해 반론의 제기가 없지 않겠으나 엄정한 제3자적인 학부형의 일반적 시선은 “보통교육계가 정신차려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어 겸허한 자가 반성과 시정된 자세확립이 강력히 요청되고 있다 하겠다.

넷째 공평무사한 인사행정의 확행을 강조하고자 한다. 교원인사나 교육행정직인사를 모두에게 만족하게 할 수는 없겠으나 형평성을 상실하거나 의심받을 정도로 특정학교 편중인상의 인사가 반복되면 필연코 불평·불만이 양산됨으로써 조직의 안정을 파괴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조직운영에 있어 만사(萬事)의 근간이라는 인사를 ‘학연주의’에서 탈피하지 못한채 편향적으로 함으로써 “도내 어느 기관은 특정고교출신들이 장악하고 있다”는 세론(世論)에서 충북보통교육계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섯째 ‘강교육감(强敎育監)’아래 ‘약교장(弱校長)’이란 이미지를 실제적으로 쇄신해야 한다. 민주적 학교경영과 학교장의 자율경영신장을 위해서는 학교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도교육청의 권한 행사만 강화되면 학교장은 눈치보며 책임회피에 급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선학교장들의 자율성회복에 다같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 끝으로 당부하고자 하는 것은 교육감(보궐)선거의 엄정한 실시와 충북지역사회의 보통교육계에 대한 애정의 발로다. 이일에 모두가 동참해야 충북보통교육이 산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