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모든 인류의 꿈인 황혼사회가 도래한다. 그러나 사회적 보장이 빈약하면 황혼사회가 축복보다는 재앙이 될 것이다.

전체국민에 대한 노인인구 비율은 절대적 요인과 상대적 요인이 있는데, 절대적 요인은 국민소득의 증가, 사회보장제도의 발전, 의료기술의 발달과 보급, 보건위생 및 생활환경의 개선, 식생활의 풍요 등으로 전체국민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것이다.

상대적 요인은 저출산으로 종형이라고 하는 인구구조로 변화하여 전체인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노년기가 점차 길어지면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은 심지어 유년기보다 더 길어지는 경우도 많아졌다. 양적요인으로서 노인인구수 및 그 비율은 1960년에 73만명 2.9%이었는데 1980년에 145만명 3.8%에 이르기까지는 비교적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1990년에 219만명 5.1%, 2000년에 337만명 7.2%로 급격하게 늘어났고, 2020년에는 15.1%가 되어 고령사회가 되고, 2030년에는 23.1%가 되어 초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질적요인으로서 평균수명은 1960년에 52.4세, 1990년에 71.6세, 2000년에 74.9세에 이르고, 2020년에는 78.1세로 전망되고 있다.

모든 인간의 염원인 황혼사회가 열리면 사회보장비 부담문제와 노동력의 고령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평균수명이 늘어나면 노인에게 만성병과 장애가 발생하여 와상, 치매성, 병·허약노인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이들은 거의가 75세 이상의 후기고령자로서 신체적·사회적으로 약자이고 보건서비스, 가족의 케어, 사회적 지원서비스 등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더욱이 많은 나라의 고령화인구에서 현저한 남녀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남성고령자보다 여성고령자 수가 훨씬 많은 것은 사망률의 남녀차이(차별사망력)에서 여성에게 그것이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녀인구의 차이는 연령이 높으면 높을수록 그 정도가 심해진다.

여성노인은 배우자와 사별한 후에 독신경향이 강하고 남성노인보다 직업이 없을 확률이 높고 퇴직 후에 수입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앞으로 노인복지정책의 수립과정에서 독신여성노인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한편 자녀와 별거와 사별, 노인과 기혼자녀 가구인 직계형 노인가구는 점점 줄어들어 독거노인가구의 비율이 늘어나게 된다.

황혼사회의 도래로 다양한 노인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치매나 와상 등 중증장애노인의 대책이 요구된다.

이는 전반적인 노인문제와 맥을 같이하는데 이들이 적절하게 치료와 요양을 받을 수 있는 노인전문병원 및 노인치매요양시설의 증설, 장애를 극복할 있도록 보장구의 개발과 지급 및 재활훈련의 실시,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케어인력의 양성과 서비스공급의 확대, 의료보험체계를 개선하여 적은 부담으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서는 장묘문화의 개선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건강한 노인을 위해서도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긴 노후를 더욱 건강하고 보람되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취미생활과 프로그램의 개발, 적절한 노동과 사회참가의 확보, 여가생활의 보장 등이다. 노인문제의 필연성은 모든 인간이 늙는다는 사실이다.

/ 꽃동네 현도사회복지대교수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