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활발하던 조흥은행본점이전 얘기가 ‘연말까지 결정’으로 바뀌면서 도민들이 크게 실망하고 있다.

최근 이근영 금융감독원장이 “조흥은행본점 이전은 충북과 대전지역이 합의해 연말까지 결정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는 충북의 힘만큼 이겨 출범한 국민의 정부가 충북도민들을 기만하는 처사에 다름아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98년 9월21일 충북도를 방문, “도로포장을 위해 30억원을 지원하고 충북은행을 회생시키기 위해 불량채권 800억원어치를 정부가 매입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그때 도민들은 대통령이 자신을 지지해준 도민들에게 ‘충북은행회생’이란 선물을 준다고 생각해 무척 고무됐었다.

이에앞서 충북은행도 자기자본비율확충, 점포정리, 인원감축 등 부단한 자구노력을 기울였고 지역에서도 충북은행및 지역역경제살리기결의대회와 충북은행주식갖기추진위원회구성 등으로 회생노력이 활발했었다. 기대가 컸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통령의 약속에도 불구, 98년 공적자금 2조7천억원을 지원받은 조흥은행에 통합, 2001년 12월말까지 본점을 중부지역으로 이전한다는 양해각서체결로 충북은행은 문패를 내리고 말았다. 충북은행통합으로 청솔금융, 중앙리스, 태양생명 등 지역금융기관이 모두 퇴출되는 신세가 됐다.

1천200억원 유상증자가 이뤄졌다면 존속할 수있었던 충북은행은 급기야 금감위로부터 증자계획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지 못해 경영개선명령을 받았다.

명분은 외자유치에 대해선 투자방법 시기 등 구체적인 자료가 아닌 의향서에 불과하기 때문에 증자연기가 곤란하다는 것이었다. 150여조원의 공적자금중 40%정도 밖에 회수하지 못할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보면 불과 수백억원 때문에 지역금융기관을 없앤 꼴이됐다.

문외한이라해도 이렇게는 안할것 같아 대단히 실망스럽다. 더욱이 대통령이 회생을 위해 불량채권까지 매입해 주지 않았던가. 마치 연극을 하듯 한쪽에서는 선심을 쓰고 다른 한쪽에서는 칼을 휘두른 셈이됐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이렇게 될수 있는가. 대통령의 선심에 엇나간 금감원의 어정쩡한 태도도 이해할 수가 없다. 조흥은행이 체결한 본점이전 양해각서를 각서대로 이행토록 해야 함에도 하지 않고 있다. 엄연한 직무유기인데도 개의치 않는 듯하다.

더 기가막힌 것은 ‘충북과 대전지역이 합의해 연말까지 결정하겠다’는 금감원장의 발언이다. 양해각서 이행기간이 지났는데도 이를 채근하지 않고 충북과 대전시민의 민감한 사안을 합의해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양쪽다 양보하지 않을 것은 뻔한데 어떻게 합의를 도출해 내겠다는 얘긴지 알수가 없다. 이건 적당히 있다가 정권이 바뀌면 그냥 물러난다는 발상이 아니고선 나올수 없는 말이다.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의식했다해도 마찬가지다. 궂은 일은 누가해도 해야한다. 공적자금피해를 국민들에게 전가시키는 그들의 수준이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충북은행을 퇴출시킨 것같아 억울하기 짝이없다. 이러니 어떻게 국민의 신뢰를 받겠는가.

이제부터라도 금감원과 조흥은행은 충북으로의 본점이전을 적극 검토, 실행해야 한다. 위성복행장도 충북에 와서 청주로 이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상황이 어떠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한 말은 책임져야 한다.

청주시의회도 지난27일 임시회에서 조흥은행본점이전촉구결의문을 채택했다. 모든게 중앙집권적이어서 본점이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그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문제다.

더욱이 대전에는 충청은행과 합병한 하나은행이 있다. 지역의 균형적발전을 도모하려면 은행도 분산돼야 한다. 하물며 대통령과 해당 은행장이 약속한 사안을 지키지 않는 대서야 말이 되겠는가. 신뢰는 신용에서 나온다. 기본은 바로 세워야하듯이 지킬 것은 지켜야한다.

그래야 젊은 예비고객들에게도 ‘백두산 호랑이’의 호감과 신뢰를 심을 수 있다. 본점이전은 조흥은행이 먼저 나서 추진하되 빨리 할수록 좋다. 끌면서 충북도민과 대전시민간에 갈등을 증폭시켜선 안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