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는 사회복지이념의 한 가지로서 장애인복지영역에서 출발하여 이제는 사회복지의 전체로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말하는 바는 정상의 개념을 다시 정하자는 것이다.

즉, 과거에 말하는 정상이란 범주를 벗어나 이제는 적극적이고 확대한 개념으로 정상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장애인이 정상인에 밀려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비일비재하였으나 이제는 장애인을 포함하여 정상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말한다.

과거에는 정상을 생각할 때 주로 통계적인 개념에 따라 말하거나 혹은 시대적, 문화적, 학문적으로 구별할 때가 많았다.

장애인을 통계적인 정상분포곡선에 따라 생각하였지만 지금은 이러한 정상분포곡선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관점에서 생각할 경우,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더 이상 구별되는 존재가 아니고 같은 인간에 속한다.

따라서 청소년복지영역에서 소외청소년, 약물청소년, 비행청소년 등과 노인복지영역에서 치매노인, 빈곤노인 등을 과거처럼 생각할 경우 정상에서 벗어난 경우로 확대하여 생각할 수 있었다.

그래서 지금은 이러한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여 인간으로서 볼려는 관점이 강하다. 이렇게 인간으로 보는 것이 바로 정산화의 이념을 적용한 것이다.

정상화 이념에 따르기 위해서는 인간이 다 같이 함께 더불어 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에 장애인이나 노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추는 것은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다.

특히 장애인복지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장애인이 생활시설로부터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 조치를 눈여겨 보아야할 것이다.

정부는 3년 전부터 생활시설에 있는 장애인에게 동아리활동을 위한 지원사업을 벌여 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어느 정도 생활능력이 배양되면 생활시설에서 퇴소하여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 조치일 것이다.

장애인이 생활시설에서 퇴소하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우선적으로 공동생활가정을 꾸리고 생활지도를 받아 서서히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것이다.

지금은 이와 같은 장애인복지정책방향에 따라 공동생활가정을 확대하는 시기일 것이다. 현재 도에서 지원하는 공동생활가정도 있지만 생활시설을 신규로 지원한다면 깊은 심사숙고가 필요할 것이다. 어느 쪽의 사업을 지원하는 것이 시대적인 입장에서 올바른 것인가를 판단해야한다.

앞으로는 장애를 가진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치를 어디에 둘 것인가’ 그리고 ‘효과와 효율을 어느 정도의 선에서 고려하여 의사결정할 것인가’ 등에 대하여 생각한다면 정상화의 이념에 따라 장애인복지사업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 청주대 교수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