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교원예우규정과 교원의 사회적예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혀 관심을 끌고있다. 지난 26일 민주당은 교육부 행정자치부 기획예산처차관 등과 함께 공교육종합발전특위를 열고 2004년까지 22000명의 교원을 증원하는 등의 사기진작책을 마련키로 했다. 경력15년 이상 교원이 국내외 교육기관연수를 위해 휴직할 경우 기본급과 수당을포함 보수전액을 지급할 계획까지 세워놓고 있다. 그동안 교원들의 마음고생을 보상하려는지 교육부의 70% 지급안에 30%를 더 주겠다고 선심까지 쓰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우리교단이 붕괴직전에 있다고 걱정하고있다. 교사가 긍지를 갖지 못하고 있고 학생들 또한 교사를 제대로 대접하려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조사한 교직생활만족도는 10명중 7명이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에 대한 존경심과 예우 수준 역시 ‘아주 낮다’가 21.8% ‘대체로 낮다’가 49.5%로 부정적 응답이 71.3%나 됐다. 예우를 저해하는 측은 학부모보다 교육행정기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를 꼽고 있다. 산업겵ㅊ맬?척肉?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지만 너무 안타깝다.

그런데 더 가슴 아픈 것은 수평적정권교체라고 환영해 마지않은 98년이후 교권추락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교총에 구제를 요청한 교권침해건수는 98년 70건, 99년 77건, 지난해엔 90건으로 늘어났다. 심히 부끄러운 학생이나 학부모에 의한 폭행도 98년 8건, 99년 12건, 지난해에는 11건으로 집계됐다.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스승의날인 지난 15일 광주에서는 동료교사에게 욕설하는 학생을 나무라며 목덜미를 때린 교사가 학생 10명으로부터 집단폭행을 당하는 일까지 일어났다. 그 학교 전교조교사들은 학생들이 달아주는 꽃을 거절함으로써 교권을 지키려한 모양이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도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폭행당해선 안된다. 아버지가 자식에게 매를 맞는가정이 잘될 리 없고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구타 당하는 사회가 건전할 리가 없다. 그래서 교권은 시급한 시일내 원상회복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99년부터 금지시킨 체벌과 학생 학부모 등 수요자중심 교육도 한번 재고해야 한다. 잘못을 나무라는 것은 교사나 어른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그럼에도 잘못을 뉘우치게 하려는 지도가 봉변을 당해서야 되겠는가. 교사의 체벌이 빌미가 되긴 했지만 잘못하는데 그냥 놔둘 수는 없다. 이 지경이 된 것은 지금 우리사회에 정신적인 지도자가 없기 때문이다. 투쟁해서 소기의 목적을 이룬 지도자들이 보여준 것은 떼 쓰는 것 외에 별로 없었던 것을 상기하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학벌좋은 사람많고 학위를 가진 사람도 많은데 60년대 가난했던 때의 순수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물질은 풍요로워졌지만 정신은 황폐화돼 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 단적인 예가 자식에게 체벌을 가했다고 학교로 달려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교사의 뺨을 때린 경우다.

교사들은 지금 교총과 전교조로 나뉘어져 어려움을 겼고 있다.

딱히 이때문은 아니지만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이 발표한 2001년 세계경쟁력연감에 한국의 교육경쟁력은 49개국 중 32위로 나타났다. 초등교사 1인당 학생비율은 31명으로 41위, 중등교사 1인당 비율은 26.9명으로 42위다. 경제계요구에 대한 교육수준은 44위에 불과하다. 엄청난 괴리를 느끼게 하고 있다. 여건이 좋지 않다는 건 분명하지만 교육계도 크게 반성해야 한다. 한마디로 할 것이 없어 선생을 한다든지, 투쟁으로 시간을 빼앗겨 학생들의 수업결손은 없는지 등 교사로서 진정 부끄러움이 없는지 반성해야 한다.

개혁대상에서 이젠 개혁의 주체가 된 마당에 국민들이 교사를 근로자가 아닌 스승으로 우러러 볼 수 있게 처신해야 마땅하다. 그것이 정부시책에대한 보답이기 전에 교사로서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부모들도 자녀에게 보다 엄격하고 학교에선 냉정해야한다. 내 자식만 싸고돌면 부모가 자식을 왕따 만든다는 것을 잊어선 안된다. 조류 등 동물의 세계에서도 새끼에게 자립하는 길을 가르치는데 하물며 만물의 영장이 그보다 못해서야 되겠는가.

언론 또한 교단의 시시콜콜한 것에서 의연해야한다. 교사의 사기가 떨어지면 교육의 질도 떨어지기 마련이다. 진득하게 봐주는 여유 그것이 사회가 교직자와 교권을 지켜주는 길이다. 시행착오 후의 결정이지만 그래도 교원을 예우한다니 다행스럽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